[전대길 CEO칼럼] 인천 미추홀, 용인 김량장, 수원 세마역 유래(由來)
[전대길 CEO칼럼] 인천 미추홀, 용인 김량장, 수원 세마역 유래(由來)
  • 김민수 기자
  • 승인 2024.10.30 04: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   대   길
(주)동양EMS 대표이사, 수필가 
국제PEN한국본부 이사   

인천 미추홀구, 용인 김량장리, 수원 세마역 지명(地名)의 유래(由來)가 궁금하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彌鄒忽區)‘는 인천의 중심지로서 예로부터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이에 따라 이름도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인공지능이 그려 준 인천 미추홀구 
인공지능이 그려 준 인천 미추홀구 

물이 모이는 곳이라는 뜻의 ‘미추홀(彌鄒忽)’이라는 이름은 고구려 시대에 이 지역을 부르던 이름인 ‘매소홀(買召忽)’에서 유래했다. 이 지역이 한강과 서해가 만나는 곳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인천 미추홀구는 고구려 시대에는 매소홀(買召忽)로 불렸으며, 이후 통일신라 시대에는 소성현(邵城縣)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고려 시대에는 수주(樹州)에 속했다. 조선 시대에는 인천도호부(仁川都護府)의 중심지로서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였다. 

인천 미추홀구에는 문학산(文鶴山)과 인천도호부청사(仁川都護府廳舍) 등의 역사적인 유적이 있다. 문학산은 인천의 대표적인 산 중 하나로, 백제 시대에는 미추홀의 중심지였다. 조선 시대에는 인천도호부의 관아가 있었다. 인천도호부청사는 조선 시대에 인천도호부의 관아로써 사용되었다. 

현재는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인천 미추홀구에는 인천대학교, 인하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등이 있으며 인천종합버스터미널, 인천 문학경기장 등의 교통시설과 문화시설이 있다.    

 인공지능이 그려 준 용인 김량장리 시장
 인공지능이 그려 준 용인 김량장리 시장

‘경기도 용인 김량장리(金良場里)’의 지명 유래는 이 지역이 옛날에 큰 시장이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에 이곳에 김량장(金良場)이란 큰 시장이 있었다. 이 시장은 한양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서 많은 사람이 오고 가는 교통의 중심지이다.

경기도 용인시 김량장리에는 중앙시장이 있다. 용인의 대표적인 전통시장 중 하나로 다양한 먹거리와 볼거리가 있다. 김량장리에는 용인시 처인구청, 용인시 보건소, 용인시 교육지원청 등이 있으며 용인 경전철 김량장역(驛)이 있다.    

인공지능이 그려 준 세마장(洗馬場)
인공지능이 그려 준 세마장(洗馬場)

‘경기도 수원 세마역(洗馬驛)’의 지명 유래는 조선 시대의 이곳에서 말(馬)을 씻었던 곳이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에는 이곳에 세마대(洗馬臺)라는 곳이 있었다. 이곳에서 왕이 수원으로 행차할 때 말을 씻었다고 한다. 

세마역 근처에는 수원 화성(華城)이 있다. , 이는 조선 시대에 정조가 수원을 방어하기 위해 건설한 성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세마역 근처에는 수원시립미술관, 수원박물관, 수원광교박물관 등의 문화시설이 있다. 

     전   대   길
(주)동양EMS 대표이사, 수필가 
국제PEN한국본부 이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