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성욱 박사의 고용서비스 정책과 경영]선진국의 고용서비스 종사자 교육사례2: 캐나다 고용서비스 종사자 교육제도
[오성욱 박사의 고용서비스 정책과 경영]선진국의 고용서비스 종사자 교육사례2: 캐나다 고용서비스 종사자 교육제도
  • 이효상 기자
  • 승인 2024.10.16 10: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별도의 공공 고용센터 부존재, 정부와 계약 맺는 비영리기관 통해 고용서비스 제공
정부 차원 정형화된 고용서비스 없고 기관별, 대학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고용서비스 담당자 교육은 주로 대학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개발 운영
교육과정은 '직업지도 담당자를 위한 국가적 지침'에 따라 개발
교육내용은 직업경력상담, 직업경력개발, 직업탐색 기술, 다문화 구직자 응대 등
오성욱 (사)전국고용서비스협회 평생교육원장
오성욱 (사)전국고용서비스협회 평생교육원장

 ■캐나다의 고용서비스 현황 
캐나다는 별도의 공공 고용센터가 존재하지 않고, 정부와 1~3년 계약을 맺는 비영리기관(non-profit)을 통해 일반 국민에게 취업 알선, 직업경력상담, 취업 지원 프로그램 등의 고용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들 비영리법인은 자체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민간, 혹은 공공기관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기도 하며, 이들 기관에 대한 취업률 평가 등 연방정부 차원에서의 수량적인 모니터링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연방정부나 주 정부 차원에서 일괄적으로 제시하는 정형화된 고용서비스는 없으며 기관별, 혹은 대학 자체적으로 수요자(고객)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취업 알선, 직업경력상담을 하고 있다.

고용서비스 제공기관들이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촉매제로 작용하고도 있어, 고용서비스 기관에 종사하는 담당자(커리어 카운셀러, 직업경력상담사 등)의 역량은 뛰어난 편이며, 일괄적인 교육훈련을 독려하지 않아도 스스로 자기 계발을 많이 하고 있고 상담학, 교육학, 심리학 등 관련 전공자의 진출이 대부분으로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유관 업무의 경력자에 한 해 채용하는 기관도 많아 취업 지원, 직업경력상담 등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사람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된다고 할 수 있다.

고용서비스 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재직자들도 대학 등 교육기관에서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을 추가로 받기도 하는데 대부분의 교육이 과목당 수십 시간에 이르고 과정들로 기초에서부터 심화 과정에 이르는 전 내용을 다루며, 상당수 과목은 온라인으로 개설되어 있어 시간활용에 유용한 편이다.

■고용서비스 종사자 교육
캐나다에서 고용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서 공통으로 강조하여 포함되는 주요 과목(역량)은 아래와 같다.
 
    ∙요구분석 : 고객이 원하는 것을 정확히 이해
    ∙경력설계 : 고객의 흥미, 적성, 능력 등을 고려한 경력설계
    ∙일자리 탐색 : 고객에게 맞는 적합한 일자리 검색
    ∙직업심리검사 : 고객에게 적합한 직업심리검사를 추천 및 실시하고 이에 대한 적합한 해석 능력
    ∙경력개발이론 : 경력개발과 관련한 이론과 사례 분석
    ∙직업경력상담기법 : 고객(구직자) 특성별 구체적 상담기법
    ∙직업윤리 : 고용서비스 종사자들이 숙지해야 할 직업윤리(고객 개인정보보호, 비밀보장, 관련 법규 등)
    ∙집단상담 : 취업 지원을 독려하기 위한 집단상담 기획 및 운영방안

주로 대학을 중심으로 고용서비스 입문희망자, 현직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은 ‘직업지도 담당자를 위한 국가적 지침(National Standards and Guideline for Career Development Practitioner)을 참조한다. 

이들 교육과정은 학위 수여 과정, 자격취득 과정 등 다양한 형태와 교육 기간으로 운영되며 상당수의 대학에서 온라인 교육을 하여 재직자와 원거리 거주자의 편의를 고려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들은 고용서비스 기관, 대학의 취업 지원 담당 기관, 기업체 인사 담당 부서 등에서 종사하며, 현직에 종사하면서 전문성 향상과 능력개발을 위해 교육에 참여하는 사람도 많은 편이다.

학위 수여 과정을 비롯해 대부분의 교육과정은 심화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기관에 따라 교육과정에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직업경력상담’, ‘직업경력개발’, ‘고용서비스 종사자의 직업윤리(상담윤리)’, ‘직업탐색 기술’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문화 인종이 거주하는 캐나다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문화 구직자’들을 위한 교육내용을 포함하고 있기도 하다. 

[오성욱 박사 주요 약력]
경기대학교 경영학박사 e비지니스학(HR서비스)
고려대학교 경영학석사 노사관계학(고용서비스)
성균관대학교 행정학석사 정책학(고용복지정책)
한신대학교(산학협력단) 연구교수
한국고용정보원 선임연구위원(2006-2021)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서비스평가 진흥센터장

(현재)(사)전국고용서비스협회 평생교육원장

<저서>
고용복지론
직업안정법해설서
고용서비스 정책과 경영 등 100여 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