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뉴스] AI 기술로 산업재해 장애등급 예측, 판정 투명성 강화
[노동뉴스] AI 기술로 산업재해 장애등급 예측, 판정 투명성 강화
  • 김민수 기자
  • 승인 2024.10.14 06: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억 건의 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 공정하고 신속한 판정
재해자의 권익을 지키기 위한 신속하고 공정한 판정 시스템 도입
정부가 산업재해로 인한 장해등급 판정을 더욱 공정하고 투명하게 하기 위해 인공지능(AI) 모델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인공지능이 생성.

[아웃소싱타임스 김민수 기자] 행정안전부와 근로복지공단가 산업재해로 인한 장해등급 판정을 더욱 공정하고 투명하게 하기 위해 인공지능(AI) 모델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AI 모델은 재해자의 유사 사례를 학습하여 주치의 진단과 최종 판정 간의 불일치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산업재해로 인해 발생하는 장해등급 판정 과정에서 주치의의 진단과 최종 판정 결과 간 차이가 발생해 재해자와 그 가족들은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행정안전부와 근로복지공단은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여, 장해등급 판정 과정에서 주치의 진단과 실제 판정 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하고 있다. 해당 모델은 과거의 유사한 사례를 학습함으로써 신속하고 공정한 판정이 가능하도록 돕고 있다.

■산업재해 판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현재 산업재해 장해등급 판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된 문제는 주치의의 진단과 최종 판정 간의 차이로 인한 민원 제기와 중간 브로커의 개입이다. 이에 따라 재해자들은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하거나 장해등급 판정의 투명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인공지능 모델은 재해자의 유사 사례를 분석하고, 의학적 자문 절차를 개선함으로써 재해자 권익을 보호하고, 장해등급 판정의 공정성을 높이고 있다.

■신속한 판정과 재해자 불편 해소
해당 AI 모델은 재해자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기존의 산재근로자 정보 및 요양 상병정보 약 2억 건을 분석하여 재해자의 장해등급을 예측한다. 이를 통해 신속한 판정이 가능해졌으며, 재해자의 불편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근로복지공단은 이를 통해 재해자가 겪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AI 기반 장해등급 예측 모델이 근로복지공단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산업재해 판정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이 실제 현장에서 적극 활용됨으로써 산업재해로 인한 불편함과 피해를 최소화하고,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