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이 선호하는 복지제도와 유연근무 환경에 대한 조사

[아웃소싱타임스 김민수 기자] 청년층의 직장 선택 기준에서 임금과 복지, 워라밸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사회적 변화와 경제적 불안정 속에서 청년들이 안정적인 수입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게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이 5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청년층 대상 채용동향조사'에 따르면, 조사에 응답한 청년의 87%는 임금과 복지가 좋다면 기업 규모는 상관없다고 답변했으며, 63%는 임금보다 일과 생활의 균형(워라밸)을 더 중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월 12일부터 31일까지 전국 17개 시도 청년(19세~34세) 4,001명을 대상으로 직업관, 직무 관련 만족스러운 직장생활 조건 등에 대해 조사한 결과이다.

■청년층의 임금 수준과 근무 시간에 대한 기대
이번 조사에서 청년층의 희망 임금 수준으로는 '300~350만원'이 25.9%로 가장 많았고, 전체 응답자의 76.3%가 '300만원 이상'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생활비와 주거비 상승 등 경제적 부담을 반영한 결과로, 청년층이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이 정도의 임금을 기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적정 근무 시간으로는 절반의 응답자가 '40~45시간'을 선택하며, 주 40시간 이상의 유연한 근무시간을 선호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청년층이 선호하는 복지제도: 특별휴가와 유연근무
청년층이 필수적이라 여기는 복지제도로는 '특별휴가'(38.5%), '유연근무'(35.4%), '재택근무'(31.1%)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금전적 지원보다 시간과 공간의 자유를 중시하는 청년층의 성향을 잘 보여준다.
이는 스트레스 관리와 워라밸을 중요시하는 현대 청년들의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통해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다. 특히, MZ 세대는 유연근무와 재택근무를 통해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분석된다.
■적성 및 흥미에 맞는 직무의 중요성 강조
청년층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적성 및 흥미'(67.7%)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으며, 이는 '교육 수준'(54.5%)이나 '기술 수준'(59.4%)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조사에 응답한 청년의 48.4%는 현재의 직무에서 전환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혀, 적성에 맞는 직무 탐색 및 직무 전환에 대한 필요성도 함께 부각되고 있다.
청년들은 직무 전환을 통해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더 나은 근로 환경을 찾으며,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맞는 직무를 찾음으로써 장기적인 직업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청년층의 직무 교육 및 자격증 취득에 대한 요구
회사가 제공하는 직무 교육은 '사내 직무 교육'(57.7%)이 가장 많았지만, 청년층은 '자격증 취득 지원'(58.2%)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청년들이 자신의 경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실질적인 자격증 취득 기회를 중요시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재학 단계부터 학생들이 수시·경력직 채용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일경험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대학 졸업 후 취업하지 못한 청년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서비스를 내년에 120개 대학으로 확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기업에서도 청년들이 시간과 공간을 더욱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경사노위 논의를 통해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