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희 박사의 건강칼럼] 좌식생활과 대사증후군의 유, 무와 동맥경화와의 상관관계
[이윤희 박사의 건강칼럼] 좌식생활과 대사증후군의 유, 무와 동맥경화와의 상관관계
  • 김민수 기자
  • 승인 2024.07.22 05: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윤희 (yhlee@posyko.com)
ㆍ운동생리학 박사
ㆍ한국운동영양학회 부회장,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특임교수
ㆍ대한육상연맹 의무분과 부위원장(운동생리,영양,도핑 부문)
ㆍ(주)파시코 대표이사

몇 년 사이에 사회의 생활상이 빠르게 바뀌는 것을 경험하고 있을 것이다. 회식 때 털썩 앉아 하던 식당이 거의 다 의자로 바뀌었다. 상가(喪家)도 마찬가지다. 

장례를 치를 인력이 태부족한 시골에서부터 차례로 장례식장이 건립되면서 예전과는 다르게 의자에 앉아서 예를 치르는게 일상이 되었다. 

전자는 어려서부터 옛날에 앉던 이른 바 ‘양반다리’가 익숙하지 않는 세대들이 주류를 이루면서 바뀌었고 후자의 경우 시골에서 나이 많은 어르신들이 노화로 인해 다리가 불편하여 ‘양반다리’로 앉는게 힘들어서 그렇게 변하였다.

또한 “출세를 하면 의자에 앉아 펜대를 굴린다”는 표현을 하곤 했다. “빙글빙글 도는 의자에 임자가 따로 있나? 앉는게 임자이지” 하는 유행가사에서 보듯이 대부분 육체노동에서 지금은 정신노동 즉 의자에 앉아서 하는 노동의 비율이 대폭 증가하였다. 

다른 삶의 형태도 의자에 앉아서 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더구나 편리함을 추구하게 되면서 육체활동이 줄어들고 식사의 질과 양에서 향상되어 적지 않은 사람들이 영양과잉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에 따른 자연스런 진행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서서히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과체중, 비만,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이상지질혈증, 심혈관질환 등으로 대표되는 대사증후군인 생활습관질환이 나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Physical activity measured by accelerometry and its associations  with cardiac structure and vascular function in young and middle-aged adults.Andersson C. J Am Heart Assoc 2015)

한 연구에 따르면 대사증후군의 유, 무에 관계없이 앉아 있는 시간과 신체활동이 동맥경화와 관련이 있다고 밝혀졌다. 

대사증후군은 5가지 위험인자(복부비만, 고혈압, 혈당장애, 중성지방, HDL이라 불리는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중 3가지 이상을 나타내는 사람을 통칭하였다. 

여기에서 대사증후군과 함께 좌식생활이 더 많은 사람이 대사증후군과 좌식생활이 적은 사람보다 동맥경화도가 유의하게 더 높게 나왔다. 

또한 좌식생활, 시간이 길수록 연령과 대사 위험요인과 관계없이 동맥경화도가 높게 나왔다. 대사증후군과 좌식생활이 길수록 동맥경화도는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Sedentary Behavior and Arterial Stiffness in Adults with and without Metabolic Syndrome. Lucimere Bohn. Int J Sports Med 2017)

대사증후군은 모든 연령층에서 대동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대사, 염증, 혈압상승, 혈당상승 및 지혈 질환의 ‘종합선물세트’입니다.(Metabolic syndrome across Europe: different clusters of risk factors, A Scuteri, 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2015)

위 여러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사증후군으로부터 멀어지려면 조금 덜 먹고 조금 더 움직여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중요한 건 말보다 실천이다.

*누죽달산: 누우면 죽고 달리면 산다.
**운동은 치킨처럼: 유산소 운동 반+ 무산소(근력) 운동 반
***만사는 불여튼튼~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 가능한 이른 나이부터 운동을~
****닦고(심장혈관 안팎을) 조이고(근육,인대,건 등을) 기름치자(조금 덜 먹고 제발 일찍 자자)

이윤희 (yhlee@posyko.com)
-운동생리학 박사
-한국운동영양학회 부회장,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특임교수
-대한육상연맹 의무분과 부위원장(운동생리,영양,도핑 부문)
-전 2020도쿄올림픽 특별지원팀(영양분과위원)
-이제는 운동도 식사처럼 삶의 일부라고 생각하는 '파워스포츠과학연구소 대표'
-(주)파시코 대표이사
-국가대표,프로스포츠 선수 영양컨설팅, 운동과 건강,영양 관련 수많은 기업강연 전문가
-보디빌딩 1급 지도자, 건강운동관리사 3급
-풀코스 마라톤 260여회 
-울트라마라톤 60여회 완주 매니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