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여성 고용률 66%, 자녀를 둔 여성 고용률 62.4%, 역대 최대
자녀 어릴수록, 자녀 수가 많을수록 고용률 크게 떨어져

[아웃소싱타임스 이윤희 기자] 기혼 여성에 대한 고용이 늘고 있지만 여전히 육아로 인해 경력단절을 경험하는 여성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가 많거나 어릴수록 여성의 재취업은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지난 19일 '2024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15~54세 기혼여성은 765만 4000명으로 지난해보다 29만명 줄었다.
반면 고용률은 1.7%p 늘어나 66.0%로 집계됐다. 그러나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여성으로 한정하면 고용률은 62.4%로 기혼 여성 전체 고용률보다 3.6%가량 적었다. 다만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여성의 고용률도 전년과 비교했을 때는 2.4% 증가한 수치로 모두 통계 집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고용률은 자녀가 어릴수록, 자녀 수가 많을 수록 낮아졌다. 자녀가 13세~17세 사이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69.2%이나 7~12세는 64.3%, 자녀가 6세 이하인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55.6%에 불과했다.
자녀가 1명인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63.4%인 반면 3명 이상 다자녀인 경우 57.6%로 줄었다.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은 1년 전보다 13만 3000명 줄어든 121만 5000명이었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 여성 비중은 22.7%로 1년 전보다 2.2%p 줄었다.
기혼 여성의 경력단절 사유는 41.1%가 육아로 가장 많았으며 결혼 24.9%, 임신과 출산이 24.4%로 조사됐다. 이외 가족돌봄이나 자녀교육은 각각 4.8%, 4.7%로 조사됐다.
경력단절기간이 10년 이상인 비율이 41.2%로 가장 많았고 5~10년 미만이 22.8%로 다음을 이었다. 3~5년 미만과 1~3년 미만은 각각 12.0%, 11.4%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