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이상이 퇴직금.상여금 없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전통적 보조급여 수
단인 상여금과 시간외수당을 받는 대상도 전체 임금근로자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최근 전국 임금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경제활동인구 부가조
사"를 실시한 결과 퇴직금과 상여금,시간외수당을 받는 근로자가 지
난 8월 현재 각각 48.3%와 48.0%,39.0%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통계청은 이날 함께 발표한 "고용동향"에서 9월중 도소매와 건설부문
의 취업자 증가에 힘입어 실업률이 전달보다 0.4%포인트 낮은 2.5%로
하락,1997년말 외환위기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이는 97년 10월(2.1%) 이후 4년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특히 통계청이 지난 3월 봉급생활자들의 급여 형태를 처음 조사했을
때에 비해 퇴직금(48.3%)과 상여금(48.5%)의 수혜비중이 소폭이나마
하락,계약 급

통계청은 이와 함께 경기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청년 실업이 확산,12
개월 이상 일자리를 찾고 있는 "장기 실업자수"가 9월중 2만1천명으
로 전달보다 2천명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고용 내용면에서는 근로조건이 불안정한 파견및 용역,일용직
근로자의 비중이 급격히 늘고 있어 고용의 질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지적됐다.
9월말 현재 상용근로자 비중은 전체의 48%로 1년전(48.6%)에 비해 하
락한 반면 임시및 일용근로자 비중은 52%로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
다.
외환위기 이후 새로운 고용형태로 떠오른 파견및 용역근로자,재택근무
자 등의 비율도 조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지난해 8월 11.0%에서 올 8
월에는 14.5%로 증가,1년만에 3.5%포인트나 늘었다.
특히 이들 근로자의 평균 임금수준은 전체 평균인 1백33만3천원에 훨
씬 못미치는 51만8천~1백19만7천원에 불과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