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혁신형 창업기업 오픈바우처 1,013억원 등 창업일자리 창출도
[아웃소싱타임스 김민수 기자] 정부의 청년일자리 및 지역안정 대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18년도 제1차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이 국회 심의 결과 3조8316억원 규모로 지난 21일 통과되었다.
이중 중기부예산은 정부 전체 추경 금액의 약 41% 수준인 1조 5651억원이다. 추경안이 통과됨에 따라 중기부는 본예산(8조 8,561억원)을 포함해 총 10조 4212억원의 예산을 올해 집행할 예정이다.
중기부는 “1개월 내 추경예산 55% 집행” 등 적극적인 집행목표와 구체적인 사업별 집행 계획을 통해 연내 예산 집행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확정된 중소벤처기업부의 추가경정예산을 살펴본다.(도표 참조)

▲재직․취업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897억원, 스마트공장 547억원 등 대-중소기업 간 근로여건 격차 완화를 위해 4개 사업에 1,575억원이 투입된다.
특히 중소기업의 기존 재직자가 5년간 근무시 3천만원을 마련해 지원하는 사업(기존가입자 1만명, 신규 3만명)이 본격추진된다.
이와 함께 청년구직자 기업인력애로센터(83억원),중소기업연구인력지원(47.5억원) 사업에도 예산이 배정돼다.
▲창업
기술혁신형 창업기업 오픈바우처 1,013억원, 팁스 282억원 등 창업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8개 사업에 7,116억원의 예산이 확정됐다.
특히 오픈바우처 제도는 4차 산업기반 청년창업기업(6개월 이내)에 연구, 마케팅 등 사업화 소요 비용을 최대 1억원 지원하는 제도로 교육부, 과기부, 국토부, 농림부, 산업부 등 부처별로 창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며 운영비는 타부처 주관기관에도 지급된다.
이와 함께 전국의 창업 입주 가능 공간을 DB화 하여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구축(10억원)과
창업사관학교 추가 개소 등 창업성공패키지(482억원)에도 예산이 배정됐다.
▲소상공인
소상공인 융자 3,450억원, 복합청년몰 조성 117억원 등 소상공인의 창업 및 경영안정화를 위해 6개 사업에 3,704억원이 투입된다.
특히 소상공인 융자사업에는 생활혁신형 창업기업이 사업 실패시 상환 부담이 없는 성공불 융자를 1~2천만원을 지원하는 사업에도 450억원이 책정됐다.
또 청년 소상공인 또는 청년근로자를 고용한 소상공인에게 특별 융자(2,000억원, 신규채용시 금리 0.2~0.4%p 추가 우대 및 한도 1억원 증액)도 실시된다.
더불어 5,000개 생활혁신형 창업 기업을 발굴하여 교육․멘토링을 제공하는 신사업창업사관학교 사업에 32억이 투입된다.
▲지역
긴급경영안정자금 1,500억원, 위기지역 기업비즈니스 지원센터 48억원 등 지역경제 안정을 위해 6개 사업에 3,256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긴급경영안정자금은 위기지역 경영애로 해소 등 긴급한 자금소요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경우로 750개업체에 최대 20억원씩이 지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