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분하지 못한 노후자금’으로 지속적 경제활동 불가피

"언제까지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50대 이상 장년층 직장인 10명 중 9명은 ‘정년퇴직 후에도 일을 계속 할 의향이 있다’고 답해 퇴직 후에도 경제활동을 지속하는 ‘반퇴’를 자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퇴란 장기간 종사한 직장이나 직업에서 퇴직 한 후 경제적인 이유로 다시 경제활동에 뛰는 드는 현상을 말한다.
미디어윌이 운영하는 벼룩시장구인구직이 50대 이상 직장인 6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92.2%가 정년퇴직 후에도 일을 계속 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있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50대 이상 고령층 비은퇴자들이 은퇴 후에도 일을 계속 하려는 이유는 무엇일까?
응답자의 42.3%가 ‘충분하지 못한 노후자금’을 꼽았다. 늘어난 기대수명과 점점 앞당겨 지고 있는 퇴직시점 사이에서 지속적인 경제 활동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 ‘삶의 의미와 보람’(24.3%), ‘생활비 마련’(18.9%), ‘사회참여’(7.5%), ‘건강유지’(6%) 등의 이유를 들었다.
현재 직업이나 직무로 최종 은퇴까지 일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하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변한 응답자는 58.3%에 불과했다.
그동안 익히고 쌓아온 기술이나 노하우와는 상관없이 고령의 실버층이 된 후에는 현재의 직업이나 직무를 유지하며 재취업 하는 것이 쉽지 않음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이런 현실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플랜 B를 준비하고 있다’고 답한 50대 이상 직장인은 37.4%에 그치며 반퇴 시기 이후의 계획이나 이 시기를 위한 커리어 개발을 하는 비은퇴자는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