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는 스펙보다 역량과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올해 기업 10곳 중 2곳은 학력, 신체조건 등 직무영량과 무관한 조건을 배제하는 블라인드채용을 계획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222개사를 대상으로 '블라인드 채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올해 채용에 블라인드 방식을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20.7%가 답했다.이는 지난해에 보다 11.2p가 증가한 수치다.
블라인드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항목으로는 '업무해결능력'이 47.8%(복수응답)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직무적합성(45.7%), ▲긍정적인 마인드(37%), ▲끈기와 열정(37%), ▲도전정신(26.1%), ▲조직융합성(23.9%), ▲창의적인 사고(17.4%), ▲위기관리능력(13%), ▲회사에 대한 충성심(10.9%) 등이 있었다.
블라인드 채용 방식을 선택한 이유로는 ▲스펙보다 역량과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67.4%, 복수응답)라는 응답이 1위에 꼽혔다.
다음으로는 ▲스펙보다 인성을 평가하기 위해(37%), ▲기존 직원들의 스펙과 업무능력이 비례하지 않아서(19.6%), ▲스펙에 의한 선입견을 배제하기 위해(17.4%),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강화 분위기에 따라(6.5%) 등의 순이었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을 시행하지 않는 기업은 ‘블라인드 채용 평가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서’(47.2%, 복수응답)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계속해서 ▲선발자에 대한 확신이 없어서(43.8%), ▲블라인드 채용을 진행할 채용전문가가 없어서(26.1%), ▲정량적 스펙으로 평가해야 하는 역량이 있어서(11.9%), ▲경영진이 원치 않아서(11.9%) 등이 있었다.
블라인드 채용여부에 관해서는 전체 응답기업 222개사의 47.7%가 '블라인드 채용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