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무직상태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청년층 가운데 실업자 또는 정규교육을 마친뒤 교육훈련을 받지 않으
면서 무직 상태에 놓여있는 유휴인력 규모가 133만명에 달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한국노동연구원 이병희 연구위원이 지난 6월말 현재 통계청의 경제활
동인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를 토대로 ‘청년층 노동시장의 구조변
화’를 분석해 18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청년층(15∼29세) 가운데
실업자가 24만2천명, 교육훈련을 받지 않고 무직 상태(비통학 비경제
활동 인구)로 남아있는 사람이 108만7천명으로 집계됐다.
따라서 전체 청년층 유휴인력 규모는 학교 졸업·중퇴자의 25.4%인
132만9천명에달해 학교를 마치고도 4명 가운데 1명이 ‘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의 유휴인력 비율이 31.8%(96만명)로 남성의 16.7%(36만
9천명)에 비해 2배 가까이 높았다.
특히 20대 후반 여성의 경우 육아,가사 등의 이유로 유휴화 비율이
41%에 달했다.
고졸 유휴인력 규모는 실업자 10만8천명, 비통학·비경제활동 인구 64
만명 등 모두 74만8천명(유휴인력 비율 28%)으로 전체 청년층 유휴인
력의 56.3%를 차지했다.
이밖에 학력별 유휴인력 비율은 대졸이상 20.9%, 전문대졸 19.6%, 중
졸이하 40.9% 였다.
실업자를 제외한 유휴인력의 상태를 보면 여성의 경우 육아 51.9%, 가
사 36%, 취직준비 4%, 진학준비 1.7% 순이었고, 남성의 경우 취직준
비 23.9%, 가사 14.3%, 군입대 대기 8.7%, 진학준비 8% 순이었다.
이와함께 고용보험 DB를 이용해 지난 95년부터 지난해까지 종업원 300
명이상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청년층 일자리의 구조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구조조정의 상시화로 전체 일자리가 감소하는 가운데 대규모 업
체를 중심으로 청년층 일자리 감소가 두드러진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대상 기업 근로자중 청년층 비율은 지난 96년 43.5%에서 97년
42.3%, 98년 38.8%, 99년 36.4%, 2000년 35.4%, 2001년 32.2%로 지속
적으로 줄어 지난 5년간 10%포인트 이상 감소했다.
청년층 채용 추이를 보면 지난 97년에는 학교나 직업훈련을 마친 뒤
신규로 채용되는 비율이 63.1%, 자영업을 포함해 노동시장 경험이 있
는 경력 채용비율이 29.2%였으나 지난해에는 각각 22.1%, 62.3%로 역
전됐다.
이 연구위원은 이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제 산업정책과 고용정책
의 연계를 통한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 노력 ▲노동력 수요 변화에 대
한 정보제공을 통한 청년층의 눈높이 조정 ▲중소기업의 근무환경 개
선 지원 ▲교육의 노동시장 성과에 대한 취업 실태 공표제 도입을 통
한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