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청구 등 잇단 강경대응에 휘말려 곤욕을 치르고 있다.
참여연대는 최태원 SK 회장 등을 JP모건과의 이면거래와 관련해 배임
혐의로 서울지검에 고발한 데 이어 이달에는 LG의 화학부문 지주회사
인 LGCI의 경영진을 상대로 주주대표소송을 제기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앞서 참여연대는 지난해 10월 한화 계열사들이 대한생명 인수본
계약에 앞서 분식회계에 참여했다며 검찰에 고발했고 지난해 12월에
는 두산의 신주인수부권사채(BW) 발행이 그룹 4세에 대한 재산ㆍ경영
권 승계의혹을 낳고 있다며 금감원에 추가조사를 요청했다.
삼성ㆍ현대자동차ㆍ동부 등 다른 대기업도 참여연대의 높아진 재벌개
혁 목소리에 긴장하며 사태추이를 주시하고 있다.
특히 대선 이후 개혁성향이 강한 인사들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참
여해 증권 집단소송제와 상속ㆍ증여세 완전포괄주의 도입 등 참여연
대의 재벌개혁 주장이 힘을 얻고 있는 것에 대해 재계는 상당한 우려
감을 표명하고 있다.
참여연대는 지난 97년 이후 △이건희 삼성 회장을 비롯한 전ㆍ현직 이
사를 상대로 주주대표소송(1심 승소) △김우중 전 대우 회장을 상 대
로 주주대표소송(1심 진행중) 등을 제기한 바 있다.
◇최태원 SK 회장 검찰 고발=참여연대가 지난 8일 대주주인 최태원
SK 회장과 손길승 그룹회장 등을 배임혐의로 검찰에 고발하자 SK는 당
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13일 금융감독위원회의 SK증권 과징금 부과 조치로 일단락된
것으로 여겨졌던 SK글로벌과 JP모건 간 주식 이면거래 문제에 대해 참
여연대는 금감위 조치가 대단히 미흡했다며 다시 검찰 고발이라는 강
수를 동원했기 때문이다.
SK는 이미 금감위 징계조치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최 회장이 SK글로
벌 손실금의 절반에 해당하는 400억원 상당의 주식을 출연한 만큼 사
태수습에 최선을 다했다는 반응이다.
SK 관계자는 "참여연대가 너무 정치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 같
다 "면서 "일단 검찰이 조사하게 되는 만큼 법적 대응책 마련에 최선
을 다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화 분식회계 여부 검찰조사=서울지검은 지난해 10월 참여연대
가 "한화그룹 계열사들이 대한생명 인수와 관련해 고의적으로 분식회
계 에 참여했다"며 고발한 사건과 관련, 한화그룹 회계담당자와 경영
진 들을 소환 조사키로 했다.
이에 앞서 금감위는 지난 3월 "한화, 한화유통, 한화석유화학 등 한
화그룹 3개 계열사가 99년과 2000년 말에 계열사 주식을 집중 매입해
부의 영업권을 일시 환입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부풀렸다"며 담당임원
해임권고 등의 징계를 내린 바 있다.
한화 관계자는 "문제가 됐던 사 안은 회계기준 해석과 적용이 달라 금
감원의 징계를 받은 것이기 때 문에 사안 자체가 억울할 뿐만 아니라
사건 자체도 경미하다"면서 " 법적인 절차에 따라서 정당하게 대응하
겠다"고 말했다.
◇LG상대 주주대표소송 절차 돌입=참여연대는 지난달 16일 옛 LG화
학(현재 LGCI) 이사였던 구본무 LG 회장 등 전ㆍ현직 이사 8명을 상
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것을 LGCI에 청구했다.
참여연대는 당시 소제기 청구에서 "지난 99년 6월 당시 LG화학 이사
진이 회사가 보유한 LG석유화학 주식 2744만주를 구본준 등 그룹총수
일가에 낮은 가격에 팔아 1900억원 이상의 자본이득을 제공하고 회사
에 손해를 입혔다"고 주장했다.
LG측은 "당시 주식거래 가격인 주당 5500원은 세법에서 정한 가격보
다 오히려 높은 수준의 적정가격이었다"고 해명했다.
◇두산 BW발행 추가조사 요청=참여연대는 두산그룹의 해외발행을 가
장한 특혜성 BW의 국내 발행 및 그룹 4세에 대한 재산ㆍ경영권 승계
의혹을 끈질기게 제기하고 있다.
참여연대는 지난해 12월 11일 금융감독원에 두산이 지난 99년 7월 발
행한 BW와 관련해 지난해 11월 6일에 이어 공시위반 혐의에 대한 추
가조사를 요청하면서 두산에 과징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