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수십억 달러에 이르는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시장에 대한 한
판 충돌을 예고하고 있다. IBM는 엑스페란토 프로젝트의 첫번째 제품
을 오는 6월에 출시한다고 이달 말 밝힐 예정이다. 엑스페란토는 판
매 기록이나 이메일 서버에 저장된 문서 등 수많은 데이터 소스로부
터 필요한 정보를 한번에 이끌어낼 수 있도록 고안된 프로젝트다.
이 문제에 대해 MS와 BEA 시스템즈는 IBM과 유사한 기술로 접근하고
있는 반면, 데이터베이스 시장의 선두주자인 오라클은 다른 접근방식
을 선호하고 있다. 여기에는 2001년 자그마치 90억 달러에 이르는 규
모였던 세계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시장이 걸려있다.
각 기업들은 자사의 기술이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서버나 통합용 애드
온 서버의 핵심으로 자리잡길 희망하고 있다.
기가인포메이션 그룹의 분석가인 필립 루슨은 “분산 쿼리(query; 데
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요청하는 것)의 성능이 조악해 실패를 거듭하긴
했지만, 데이터베이스 업체들은 ‘통합’ 혹은 가상 데이터베이스 개
념을 실현하기 위해 수년간 노력해왔다”고 말했다. 시스템의 복잡성
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과 같은 공통 데이터 언어의 부
재 또한 초기 노력들을 실패로 이끈 원인이다.
그는 또 “그러나 하드웨어와 네트워크 부문의 성장에 맞춰 지난 2년
간 쿼링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기술로 만들어
진 통합 데이터와 기업 정보 통합(EII; enterprise information
integration)은 좀더 믿을만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온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다루는 고객지원 콜센터 부문
은 이같은 신기술을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 업체들의 주요 경쟁무대
가 될 것이다.
루슨은 “만일 EII 업체들이 성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콜센터는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 부상할 것”이라며 “하지만 그 시나리오는 아
직까지 이론일 뿐이다. EII 솔루션을 실제로 적용한 사례는 찾아보기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루슨은 EII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신속한 반응이 필요치 않은 기업 운
영 분석 보고서를 운용하는데 적합하다고 말했다. 또한 통합 데이터
접근방식은 기업들이 정해진 간격으로 중앙 저장소에 데이터를 전송하
는 데이터 웨어하우징방식보다 효율적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1년간 유지하는데 100만 달러의 비용
이 드는 반면, EII 제품은 몇만 달러의 비용만 요구할 뿐 아니라 따끈
따끈한 최신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데이터 교환 표준인 XML에 맞춰 제작된 IBM 엑스페란토는 통합 데이
터 관리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하나의 대형 데이터베이스를 만드
는 것(오라클이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모델) 대신, 통합 구조는 모든
관련 데이터를 하나로 연결하는 가상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 이 모델
에 따르면 각 데이터 소스들은 원래 위치에서 쿼리받게 되며 데이터베
이스 관리 서버들은 그 결과를 통합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만
든다.
통합 방식의 지지자들은 이 방식이야말로 데이터를 최적의 위치와 형
식으로 보관할 수 있게 하며 기업에게도 비싸고 실패 확률이 높은 데
이터 변환과 개발 과정을 회피할 수 있게 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엑스페란토 기반 서버들은 고객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완전히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대신, 서로 호환되지 않는 몇
몇 시스템들을 통합함으로써 고객의 문의사항에 답할 수 있게 만든
다. 이것은 기존방식으로도 가능한 일이지만 쉽지 않다. IBM의 경쟁업
체들도 다양한 데이터 소스들을 한 번에 쿼리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개
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BEA 시스템즈는 지난 해 XML 기반 쿼리를 통
해 다양한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웹로직 제품을 위한 리퀴드
데이터를 출시했다.
올 상반기에는 MS가 암호명 ‘유콘’인 SQL 서버 베타 테스트 버전을
출시할 전망이다. MS에 따르면 이 서버는 데이터베이스가 각기 다른
데이터 소스에 있는 XML 데이터를 보다 쉽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고
한다.
MS는 또한 유콘같은 데이터 쿼리 기술을 자사의 윈도우 OS에 통합시키
기 위해 막대한 노력을 쏟아 부을 예정이다. MS는 이 프로젝트를 10년
에 걸쳐 준비해왔다.
님블 테크놀러지와 메타메트릭스같은 수많은 중소기업들 또한 이 경쟁
에 합류했다.
IBM 정보 통합 담당이사인 넬슨 매토스는 “이것은 데이터 관리 산업
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변화라고 생각한다”며 “이로 인해 데이터
관리 개념은 단지 물리적으로 저장한다는 의미에서 통합 관리라는 새
로운 개념으로 옮겨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해묵은 논쟁 다시 불붙어 엑스페란토의 출시로 기업 데이터 관리의 최
선책이 무엇이냐는 업계의 해묵은 쟁점이 다시 촉발됐다. 한쪽에는 통
합 방식을 지지하는 IBM, BEA, MS가 버티고 있으며, 또 다른 한쪽에서
는 강화된 중앙관리 방식을 지지하는 진영이 오라클을 중심으로 뭉쳐
있다. 오라클은 유지비 측면에서 소수의 대형 데이터베이스가 다수의
소형 데이터베이스보다 훨씬 경제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오라클
분산 데이터베이스 기술 담당 부사장인 베니 소우더는 오라클 데이터
베이스도 다양한 데이터 소스들에 대한 쿼리와 XML 형식 데이터를 처
리할 수 있다고 전했다.
소우더는 “소수의 대형 데이터베이스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
다”고 말했다.
IBM은 기업들이 정보소스, 애플리케이션, 사업 절차 등 다양한 차원에
서 통합을 이룰 필요가 있으며, 자신들은 3가지 분야 모두에 투자해왔
다고 주장했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업체인 웹스피어 스튜디오는 IBM의
프로그래밍 툴을 사용함으로써 엑스페란토와 자사의 웹스피어MQ 애플
리케이션 통합 미들웨어, 웹스피어 비즈니스 인티그레이터의 장점을
활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IBM의 매토스는 “소비자들은 엑스페란토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음을 실감하고 있다. 만일 그들이 J2EE (Java
2 Enterprise Edition)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고 있고 3가지 데이터베
이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야 하는 경우라면, 그들은 일일이 접속하고
또 쿼리를 발송하고 다시 자료 수집 과정을 거친 다음 해당 애플리케
이션 서버에서 통합해야 한다”며, “엑스페란토라면 한 번의 쿼리 발
송으로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IBM은 생명과학 산업 고객들이 자사의 데이터 조이너 제품을 이용하
고 있는 몇 가지 사례를 소개했다. IBM의 데이터 조이너는 주로 관계
형 데이터베이스와 메인프레임 기반 플랫 파일 시스템 쿼리를 목적으
로 고안된 제품이다. IBM은 또한 엑스페란토를 활용할 소프트웨어 업
체들을 물색 중이다. 업무용 소프트웨어 업체인 크리스탈 디시젼스는
엑스페란토 제휴 계약을 체결했다.
IBM은 문서를 저장하는 이메일과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뿐 아니라,
대부분 사업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수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의 정보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적 데이
터와 ‘비구조적’ 문서 모두를 처리하기 위해 IBM은 XML 기술을 사용
할 예정이다.
또한 IBM은 모든 데이터베이스 업체들이 사용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
스의 쿼리 수단인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지원할 계획이
다.
매토스는 “우리는 혁신적 방식이 좋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 고객
은 기존 환경의 데이터를 활용해서 신속한 응답을 얻기를 원한다.
SQL 부문에 막대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최초의 엑스페란토 적용 제품은 IBM의 주력제품인 DB2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정보 통합 전용 서버가 될 것이며, 여기에는 분산 데이터 기반
의 애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IBM의 웹스피어 스튜디오 개발 툴이 포
함될 것이라고 IBM은 밝혔다.
IBM은 2004년 출시예정인 엑스페란토에 XML 기반의 엑스쿼리(XQuery)
언어를 사용하는 쿼리 발송 기능을 추가할 계획이다. 매토스는 향후
출시될 제품들은 향상된 문서 검색 및 분석 기능을 갖추게 될 것이라
고 전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