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개미에 대한 환경 친화적 방제 기술이 개발, 현재 미국 남부 지역
의 수백만 에이커에 피해를 가져오고 있는 불개미 해충에 대한 방제
에 커다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같은 최근의 연구 결과는 1929년 남아메리카로부터 우연히 도입된
외래종 붉은 불개미(Solenopsis invicta)에 대한 방제 연구의 일환으
로 이루어진 것이다. 사람이 불개미에 물리게 되는 경우 쿡쿡 쑤시는
강한 자극을 받게 되는데, 이는 생태학적으로 볼때 토착 개미와 경쟁
적인 관계로 작용하는 것이다. 특히 건설 작업 지역과 토양이 뒤집어
업혀진 경우(disturbed)엔 이러한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고 한다.
플로리다주에 소재하고 있는 Center for Medical and Veterinary
Entomology(CMAVE)의 불개미 연구 책임자인 David Williams는 이러한
불개미에 대한 방제책으로 바이러스를 비롯한 여러 가지 생물학적 방
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그 가운데 한 가지가 아르헨티나와 브
라질 유래 기생 개미(Solenopsis daguerrei)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생 개미는 개미 집단의 숫자를 감소시켜 불개미 집단 밀도
를 33%까지 감소시키며, 기생 개미가 존재하는 집단에서는 여왕 불개
미의 숫자를 47%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생물 방제책으로는 원생동물 Thelohania solenopsae를 이용하
는 방법인데, 남아메리카 유래의 단세포 원생동물을 기생시킴으로써
여왕 개미의 체중을 감소시켜(그림파일1 참조) 산란되는 개미 알의 숫
자를 감소시킨다는 방법이다. CMAVE의 곤충학자인 David Oi는 T.
solenopsae의 새로운 종류가 병원체를 군생에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시
킨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곤충 병리학자인 Roberto Pereira는 그가 명명한 질병(yellow head
disease)에 대해 최근 Mattesia속 원생동물이 그 원인이라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Mattesia속 원생동물의 경우 조사된 지역의 34%, 서식처
의 8%에 해당하는 곳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물 방제 수단으
로서의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에 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http://www.ars.usda.gov/is/AR/archive/feb03/ants0203.htm을 통해
볼 수 있다.
자료출처 : []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