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비정규직 제로' 정책의 여파가 민간기업인 쿠팡으로까지 번지고 있어 타 기업들도 해결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쿠팡사태대책위원회(대책위)’ 대표 강병준(31) 씨는 지난 30일 광화문에 설치된 국민인수위원회에 ‘쿠팡의 비정규직 대량해직 사태 해결을 위한 탄원서’를 제출했다.
강 씨는 “올해 2월부터 석 달 동안 쿠팡맨 216명이 회사를 나갔는데, 평균 10.4개월 근무했다”며 “2년 전 김범석 대표가 밝힌 1만5000명 고용과 정규적 전환 약속과는 크게 다르고 계약직에서 정규직으로 되진 못하더라도 최소한 2년간은 근무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쿠팡은 2015년 업계 최초로 배송기사인 쿠팡맨을 직접 고용하며 업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고 실제로 연봉도 4000만원 이상으로 동종 업계와 비교하면 월등해 경영방침에 관련업계의 관심이 컸었다.
하지만 지난 4월 쿠팡맨들이 회사 측에 정규직 전환 평가방식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면서 갈등이 시작됐다.대책위 측은 쿠팡이 여전히 정규직 전환 움직임에 소극적이며 부당해고도 있다고 주장한다.
대책위 강 대표는 “현재 쿠팡맨으로 일하고 있는 2237명 중 76명이 탄원서에 서명했다”며 “이 중에는 회사 측에서 노사협의체로 인정한 쿠톡 회의 참석자도 일부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또 강씨는 “회사 내부자를 통해 받은 자료에 의하면 현재 쿠팡맨은 2237명이 근무 중”이며 “이 중 비정규직은 1409명으로 63%”라고 말했다.
대책위는 쿠팡이 2년 연속 5000억원대의 적자가 이어지자 쿠팡맨 감축에 나선 것으로 본다면서 “지난 2월 창원1캠프에서 배송 실적이 1등이었던 동료가 사전 통보도 없이 어느 날 갑자기 계약해지 통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지난 가을 이후 입사한 쿠팡맨은 근태와 상관없이 자의 반 타의 반 회사를 나가게 됐다”며 “정규직으로 전환될 기회도 박탈당했다”고 주장했다.
이런 주장에 대해 쿠팡의 허준 홍보팀장은 “쿠팡맨은 현재 3600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쿠팡의 정규직 전환 시스템은 여타 회사와 다르다”며 “1년 이내에 정규직으로 전환한 쿠팡맨도 많다”고 대책위측의 주장을 반박했다.
쿠팡의 정규직화 대한 논란이 어떻게 전개될지 많은 기업들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