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주 외국인 일자리 비중 감소
국내 상주 외국인 일자리 비중 감소
  • 김민수
  • 승인 2017.03.14 10: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웃소싱타임스 김민수 기자]
국내에 상주하는 외국인 일자리 비중이 2013년 60.4%에서 지난해 54.9%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 비자가 아닌 유학, 결혼이민자 등의 외국인 비중은 늘어났다.

지난 13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내놓은 ‘최근 외국인 취업자 구성 변화와 특징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취업전용 비자인 비전문취업(E-9)과 방문취업(H-2)·전문인력(E-1~E-7) 비자를 받고 국내에서 일하는 외국인 비중이 감소하고 있다.

반면 유학생(D-2, D-4-1)·재외동포(F-4)·영주자(F-5)·결혼이민자(F-2-1, F-6)처럼 취업전용이 아닌 비자로 들어온 외국인 비중은 늘어나고 있다. 2013년 39.6%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45.1%까지 증가했다.

취업전용 외 자격으로 체류하면서 취업하는 외국인이 증가하면서 외국인 취업자 구성도 변하고 있다.

외국인 취업자 산업분포를 보면 비중이 가장 높은 광공업은 2013년 49.6%에서 지난해 45.4%로 줄었다. 도소매·음식·숙박업은 같은 기간 18.0%에서 19.7%로 늘었다.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도 18.1%에서 19.4%로 증가했다.

이런 현상은 취업전용 자격을 갖춘 외국인이 제조업에 주로 취업하는 것과는 달리 취업전용 자격이 없는 외국인은 서비스업에 취업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취업전용 자격 외국인은 지난해 56.6%가 광공업에 취업했지만 취업전용 외 자격 외국인은 57.2%가 도소매·음식·숙박업과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에서 일했다.

서비스부문 외국인 취업자 증가는 영세사업장 고용비중 증가와 수도권 취업 집중으로 이어진다. 지난해 도소매·음식·숙박업과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외국인 취업자들이 5인 미만 사업장에 가장 많이 취업했는데, 그 비중은 각각 50.1%와 34.9%였다. 외국인 취업자의 62.2%는 서울·경기·인천지역 취업자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