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비 증가 등 부담 느껴 소극적 태도 보여
경기도 공공기관 비정규직 절반 이상이 정규직 전환 자격을 갖추고도 정규직으로 전환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경기도와 지역 언론 매체에 따르면 도는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에 따라 2년 이상 상시지속 업무를 하는 비정규직 근로자(55세 이상 고령자와 연구ㆍ실험 지원자 등 제외)에 대해 정규직으로 전환해주고 있다.
그러나 지난 2015년 도 산하 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실적을 분석한 결과 정규직 전환 대상자 99명 중 43명만이 최종 전환된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는 15명의 대상자 중 단 한 명도 전환하지 않았으며, 경기도의료원에서는 56명 중 22명만 정규직 전환의 기회를 얻게 됐다. 경기평생교육진흥원도 대상자 6명 모두가 전환되지 못하는 등 전체 대상자 중 절반 이상이 정규직 전환의 문턱에서 좌절해야 했다.
이는 기관들이 정규직 증가에 따른 정원 확충 및 운영비 증가 등에 부담을 느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기 때문이라고 이 매체는 전했다.
특히 최근 경기도가 실시한 DMZ국제다큐영화제에 대한 특정감사에서는 상근직원 8명에 대해 예산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정규직이 아닌 10~12개월 계약직으로 임용, 근무하도록 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도내 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정원이 늘어나면 운영비 등이 증가해 기관 운용에 어려움이 있다”면서 “정규직 전환이 아니더라도 재계약을 이어가는 등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공공기관 특성에 따라 일시 프로젝트적 성격의 업무를 하는 곳이 많아 비정규직을 채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그러나 채용된 비정규직들의 처우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최대한 많은 인원에게 정규직 전환의 기회를 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