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 개편 가속도
기업들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 개편 가속도
  • 강석균
  • 승인 2016.09.21 11: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웃소싱타임스] 노동시장 임금체계가 '호봉제' 중심에서 '직무·성과' 중심으로 개편 움직임이 가속도가 붙고 있다.

특히 연봉의 일부를 성과와 연동시키는 '성과연봉제'는 노동계 반발 속에서도 일부 기업들이 도입하기 시작하는 등 임금체계 개편이 속도가 붙고 있다.

21일 고용노동부가 올 상반기(6월 기준) 임금을 결정한 사업장 3691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임금체계 현황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조사 사업장 3650개소 중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을 개편한 사업장은 12.4%인 454개다.

2016년도 상반기의 임금체계 개편 방식을 보면 사업장별로 상황에 맞춰 다양한 방식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근속·연공급을 축소·폐지하는 비중이 거의 절반(47.7%)에 육박하고 있다.

노조가 있는 사업장(13.5%)이나 없는 사업장(12.3%)에서의 개편율은 비슷했으며, 규모가 클수록 개편율은 소폭 하락했다.

또한 ‘16.6월말 현재, 조사대상 사업장(3,691개소) 중 연봉제를 운영 중인 사업장은 36.7%(1,356개소)이며, 연봉의 일부를 성과와 연동시키는 성과연봉제를 운영하는 사업장은 12.2%(449개소)였다.

연봉제 도입 사업장 중 성과연봉제 운영 사업장의 비중은 100~300인 미만 30.2%, 300~500인 미만 40.6%, 500인 이상 46.8%로 규모가 클수록 높았다.

한편, 임금체계 개편 계획과 관련해서 조사대상 사업장(3,691개소) 중 500개소(13.5%)가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임금체계 개편 계획이 있는 사업장의 대부분은 성과연봉제 도입·확대(42.2%), 근속·연공급의 연공성 완화(33.6%), 집단성과급, 각종 인센티브의 평가 차등(30.6%) 등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체계 개편시 평사원과 관리자급 모두 포괄하여 추진하겠다는 사업장이 81.2%를 차지하고, 개편 시기도 1년 이내가 169개소(33.8%)로 가장 많고, 68개(13.6%)사업장은 현재 개편이 진행중이다.

고용노동부 임서정 노사협력정책관은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하는 사업장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현장 노사의 임금체계 개편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 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