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연봉의 일부를 성과와 연동시키는 '성과연봉제'는 노동계 반발 속에서도 일부 기업들이 도입하기 시작하는 등 임금체계 개편이 속도가 붙고 있다.
21일 고용노동부가 올 상반기(6월 기준) 임금을 결정한 사업장 3691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임금체계 현황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조사 사업장 3650개소 중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을 개편한 사업장은 12.4%인 454개다.
2016년도 상반기의 임금체계 개편 방식을 보면 사업장별로 상황에 맞춰 다양한 방식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근속·연공급을 축소·폐지하는 비중이 거의 절반(47.7%)에 육박하고 있다.
노조가 있는 사업장(13.5%)이나 없는 사업장(12.3%)에서의 개편율은 비슷했으며, 규모가 클수록 개편율은 소폭 하락했다.
또한 ‘16.6월말 현재, 조사대상 사업장(3,691개소) 중 연봉제를 운영 중인 사업장은 36.7%(1,356개소)이며, 연봉의 일부를 성과와 연동시키는 성과연봉제를 운영하는 사업장은 12.2%(449개소)였다.
연봉제 도입 사업장 중 성과연봉제 운영 사업장의 비중은 100~300인 미만 30.2%, 300~500인 미만 40.6%, 500인 이상 46.8%로 규모가 클수록 높았다.
한편, 임금체계 개편 계획과 관련해서 조사대상 사업장(3,691개소) 중 500개소(13.5%)가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임금체계 개편 계획이 있는 사업장의 대부분은 성과연봉제 도입·확대(42.2%), 근속·연공급의 연공성 완화(33.6%), 집단성과급, 각종 인센티브의 평가 차등(30.6%) 등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체계 개편시 평사원과 관리자급 모두 포괄하여 추진하겠다는 사업장이 81.2%를 차지하고, 개편 시기도 1년 이내가 169개소(33.8%)로 가장 많고, 68개(13.6%)사업장은 현재 개편이 진행중이다.
고용노동부 임서정 노사협력정책관은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하는 사업장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현장 노사의 임금체계 개편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 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