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협력 5개년 기본 계획 발표
[아웃소싱타임스]대학과 기업 간 협력을 강화해 청년의 취·창업을 확대될 전망이다.교육부는 29일 서울 광화문 서울정부청사에서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이 담긴 ‘산학협력 5개년 기본계획-2016~2017년도 세부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교육부는 대학별로 특화 산업분야를 자체적으로 선정해 해당 분야 기업과 전문인력 양성, 기술개발·이전 등 협력을 강화하는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LINK+)’을 내년부터 5년간 추진한다.
이 사업은 정부가 사업의 목적과 방식을 정해 아래로 내려보내는 기존의 의사결정 구조를 벗어나 대학이 사업을 자율적으로 설계해 정부에 올려보내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LINK+에 참여하는 각 대학은 맞춤형 기업지원을 담당하는 기업협업센터(ICC)를 1개 이상 구축해야 한다. 또 문화·예술 및 서비스 분야에 적합한 산학협력 성과지표를 개발해 공학계열·제조업 중심의 산학협력 범위를 인문·사회·예술 및 서비스산업 분야 등 다양한 산업분야로 확대해야 한다.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 우수모델 개발 등도 추진된다.
창의적 공학인재 양성 세부계획안도 마련됐다. 교육부와 고용노동부는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에 대해 기술사 자격을 취득할 때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방안은 공학교육인증원, 기술사협회 등 관계기관 간 협의를 통해 마련될 예정이다.
대학생이나 대학원생들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지원도 강화된다. 내년부터 대학생, 대학원생 등의 초기 창업에 필요한 투자 자금을 지원하는 ‘대학창업펀드(가칭)’가 조성된다.
대학과 동문, 지자체 등이 대학창업펀드를 조성하고, 대학이 보유한 특허 등 기술을 출자해 신규 회사를 세우거나 외부 기업과 합작하는 대학기술지주회사가 이를 직접 운용해 대학(원)생의 창업을 지원하는 마중물 역할을 한다는 취지다.
배성근 교육부 대학정책실장은 “산학협력 5개년 세부이행계획을 빈틈없이 추진해 기업연계형 대학을 육성하고 대학이 양질의 청년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