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30일 '한국의 스킬 미스매치와 노동시장 성과 국제비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3년 조사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근로자의 역량 수준은 비교 대상 22개 국 중 15위로 낮은 수준이었다.
반면에 근로자 역량이 일자리가 요구하는 역량 수준보다 높은 '역량 과잉'을 측정한 결과, 우리나라는 22개 국 중 5위에 올랐다.
이는 개인의 역량 수준이 특별히 높지 않지만, 일자리가 요구하는 역량 수준보다는 높다는 뜻이다. 좋은 숙련 일자리는 부족한 반면 질 낮은 저숙련 일자리는 많아 개인 역량을 제대로 활용하기 힘들다는 의미이기도 한다.
근로자 간 임금 격차도 컸다.
우리나라 고역량자의 임금은 OECD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그 이하의 역량 수준에서는 모두 OECD 평균보다 낮았다. 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라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개발원 반가운 부연구위원은 "교육훈련 시스템의 획기적 개선 뿐 아니라,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업 생태계를 보다 수평적으로 바꾸고 기업의 혁신을 유도하는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유한구 동향분석센터장은 "대기업 중심으로 고착화한 기존 경제구조만으로는 일자리의 질을 높이기 힘들다"며 "신생기업, 벤처기업을 활성화해 새로운 고부가가치 일자리를 창출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