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노총, '노동계 빠진 노사정위 운영'에 문제 제기
한노총, '노동계 빠진 노사정위 운영'에 문제 제기
  • 이준영
  • 승인 2016.02.17 10: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웃소싱타임스]노동계를 배제한 채 운영되는 노사정위원회에 한국노총이 적법성 문제를 제기했다. 노사정위는 법 조항에 근거한 운영이라며 이를 반박했다.

한국노총은 16일 노사정위원회에 공문을 보내 "노동계가 빠진 상황에서 노사정위 회의체가 운영되는 것은 노사정위원회법을 위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노총은 공문에서 "노동계가 정부의 일방적인 사회적 합의 위반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대화가 정면 중단된 상황에서, 노사정위가 일방적으로 회의체를 운영하는 것은 관련 법률을 위반하는 것이므로 중단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노총이 위법 근거로 내세우는 것은 노사정위원회법 제7조다.

노사정위원회법 7조는 '노사정위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한다'고 규정했다. 의결시 근로자, 사용자, 정부 대표위원 각각 2분의 1 이상 출석해야 한다.

노사정위는 한노총의 주장이 근거 없다고 반박했다.

노사정위는 "현재 가동 중인 3개 의제별위원회는 노사정위원회법 10조 및 시행령 11조 규정에 따라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 운영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노사정위는 노동시장구조개선특위, 산업안전혁신위, 청년고용협의회 등 3개 의제별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노사정위는 "최종 의결기구인 본위원회는 노사정 각 대표위원 2분의 1 이상의 출석이 있어야 의결할 수 있지만, 현재 노동계 불참으로 본위원회는 가동되지 않고 있다"며 "한노총의 주장은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