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근로자 4명 중 1명 저임금, OECD국가중 2위
우리나라 근로자 4명 중 1명 저임금, OECD국가중 2위
  • 이준영
  • 승인 2015.11.12 10: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웃소싱타임스]근로자 4명 중 1명은 여전히 저임금에 시달리는 등 우리나라가 OECD 국가들 중 저임금 고용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성재민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이 내놓은 '저임금 고용의 추세와 정책선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저임금 고용 비율은 24%로 집계됐다.

연구진은 저임금을 연구관례에 따라 중위임금의 3분의 2 미만 임금으로 정의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저임금 고용은 2006년 29%로 정점을 찍은 후 2014년에는 24%로 내려앉았다.

그러나 우리나라 저임금 고용 비중은 임금근로자의 22%를 밑도는 적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OECD 국가들과 비교해보면, 저임금 비중을 보고한 30개 국가 중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높았다.

임금근로자 중 저임금 근로자 비중 추이를 연령별로 보면 노동시장 진입연령을 제외하고는 모두 줄었다.

2004년엔 15~24세 임금근로자 중 44.4%가 저임금 근로자였지만, 2014년에는 50.5%가 저임금 근로자로 나타났다.

주 생산계층인 25~54세는 같은 기간 20.0%에서 15.6%로 감소했다.

55~64세도 10년 전에는 46.4%가 저임금 근로자였지만, 2014년에는 39.2%로 줄었다.

65세 이상은 과거와 현재 모두 80%에 육박했다.

저임금 근로자만 보면 고령화의 영향으로 노인의 비중이 높아졌다.

2004년에는 저임금 근로자의 과반 이상(59.3%)이 25~54세였지만 10년 후에는 그 비중이 48.1%로 떨어졌다.

반면 55~64세의 비중은 같은 기간 13.6%에서 18.2%로, 65세 이상은 6.5%에서 15.6%로 껑충 뛰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