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비정규직 해법 모색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비정규직 해법 모색
  • 이준영
  • 승인 2015.07.15 12: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웃소싱타임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이하 교회협)가 비정규직 문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토론회를 열고 개신교계 단체와 학계 등을 주축으로 한 연대 조직을 출범시키기로 했다.

지난 14일 '한국교회와 비정규직-신학적 성찰: 한국교회의 응답'이라는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유경동 교수(감리교신학대학)는 성서상 "인간의 노동은 의무이며 명령이고 축복"임을 강조하면서 그러나 한국의 비정규직이나 청년실업 문제는 성서에 나타난 하나님 창조의 축복인 노동권을 유린하는 대표적인 예라고 지적했다.

'노동권, 소유권, 경영권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주제로 발제한 최형묵 목사(천안살림교회)는 생존권적 기본권으로 인정되는 노동권이 소유권에 의해 제약되는 현실을 언급하면서 "성서에서 제한적으로 인정되는 소유권과 경영권은 공동체의 존립과 사회적 약자의 생존권을 보장하는 데 근본 의의가 있다"며 "과도한 소유권과 경영권에 대해 감시하고 고발하며 노동권을 보호하는 일이 성서의 가르침"이라고 덧붙였다.

'비정규직의 현실과 한국교회에 대한 제언'을 주제로 발표한 김유선 박사(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원)는 한국노동자의 50%가 비정규직이라는 점, 1년 미만 단기 근속자 비율이 35.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고이며 10년 이상 장기근속자 비율이 18.1 %로 최하위(2011년 통계)라는 점 등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규직 고용 관행 정착을 약속한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을 준수하고 10대 재벌이 보유한 522조 이상의 사내보조금(2013년 통계)을 노동시장의 건전한 발전과 공익을 위해 사용한다면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날 토론에서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현장 증언도 있었다.

김소현(기륭전자) 씨는 "IMF 후 모든 것이 복원되었으나 파견법 등 노동자에게 가해진 불이익은 복원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최종원(기아차) 씨는 2014년 법원 판결로 정규직 전환 명령이 있었음에도 이를 무시한 자본의 오만함을 고발하면서 비정규직의 고통과 아픔을 나누기 위해 한국교회가 기도하고 격려해 줄 것을 호소했다.

교회협은 내달 말 회원 교단 사회선교부(교회와 사회위원회), 노동선교기관, 사회선교 단체, 한신대학 노동연구소 등 학계, YMCA 등의 평신도 단체, 기독실업인회로 구성되는 '비정규직대책 한국교회연대'(가칭)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또 11월 첫 주를 '비정규직을 위한 기도주간'으로 선포하고 기도집 제작, 지역센터 조직 등의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