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 선배’는 취업으로 인한 졸업유예나 휴학 등으로 학교를 오래 다니고 있는 고학번 선배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화석 선배라고 느끼는 순간으로는 ‘조별 과제발표 시 학번을 봤을 때’가 48.3%로 절반 가까이 표를 얻으며 1위에 오른 가운데, ‘고참 선배들이 다 허리 굽혀 인사할 때’(21.8%)와 ‘조교보다 나이가 많은 걸 알았을 때’(21.1%)가 박빙의 표를 얻으며 2, 3위에 올랐다. 기타 응답으로는 ‘학교, 동아리 히스토리를 줄줄이 꿰고 있을 때’ (8.6%) 등이 있었다.
화석 선배를 목격했을 때 드는 생각 1위는 ‘요즘 취업이 정말 힘들구나’가 60%의 높은 표를 얻으며 1위에 올라, 취업난과 고학번 선배를 바라보는 시각이 고스란히 맞물리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어 ‘저 선배는 준비할 일이 많고 바쁜 분이구나’(16.5%), ‘세대차이 나서 어울리기 힘들겠구나’(10.5%)가 나란히 2, 3위에 올랐으며, ‘저 선배는 학교를 정말 좋아하는구나’(7.5%)와 ‘내 학교생활에 도움을 주시겠구나’(5%) 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체 응답자 중 자신이 학교를 오래 다녔다고 체감하는 대학생 484명의 응답에 따르면, 이들이 신입생에게 해주고 싶은 말 1위는 절반 이상(52.5%)이 ‘1학년일 때 실컷 놀아라’를 꼽아 학년이 올라갈수록 취업과, 학업, 스펙 관리에 대한 부담이 커지는 현실을 보여줬다.
이어 ‘내가 경험이 많으니 챙겨주고 가르쳐줘야지’(15.9%), ‘같은 대학생인데 스스럼 없이 다가가면 그만’(15.1%), ‘같이 어울리고 싶지만 참아야지’(13.8%) 순으로 이어졌다.
학교를 오래 다니게 된 이유는 ‘제대 후 복학’이 25.4%로 가장 많았으며, ‘인턴/아르바이트 등 업무 후 복학’도 23.1%에 달했다.
이어 ‘졸업유예’(15.5%)와 ‘미취업’(12.4%)이 나란히 3, 4위로 이어지며 구직활동의 어려움을 반영했고, ‘집안사정’(11%), ‘창업, 새 진로 준비’(7%), ‘연수 후 복학’(5.6%) 등이 대학생들이 학교를 빨리 떠날 수 없는 이유인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