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운노조 '노무인력 공급독점권 포기' 선언
부산항운노조 '노무인력 공급독점권 포기' 선언
  • 이준영
  • 승인 2014.11.10 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끊이지 않는 채용 비리로 골머리를 앓는 부산항운노동조합 집행부가 항만 노무공급 독점권을 포기하기로 했다.

김상식 부산항운노조 위원장은 10일 "항만 노·사·정이 참여하는 '부산항 항만노동인력 수급관리위원회'를 꾸려 항만 하역시장에 필요한 인력을 뽑고 배치하는 일을 투명하게 하겠다"고 말했다.

부산항운노조가 138년 간 독점해온 항만노무독점권을 포기하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노(부산항운노조)·사(부산항만물류협회, 부산항만산업협회)·정(부산지방해양항만청, 부산항만공사)이 참여하는 '부산항 항만노동인력 수급관리위'는 먼저 부산항에 필요한 적정 하역인력이 얼마나 되는지 산정하는 작업을 한다.

항만 하역작업이 자동화되면서 그만큼 하역인력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화물을 싣고 내리는 데 필요한 신규 인력 채용규모가 확정되면 항만 노사정이 참여하는 항만노동인력 수급위원회에서 공정하고 투명하게 사람을 뽑아 배치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제도적으로는 항만노무인력 채용과 배치가 투명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항운노조의 취업비리가 노조에서 행사해온 항만 노무공급권 독점에서 비롯됐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5월 취임하고 나서 노조 집행부가 기득권을 포기하고 노·사·정 항만노동인력 수급관리위 구성을 준비해왔는데 세월호 참사로 늦어졌다"며 "현재 항만 노사관계로는 급변하는 부산항 노무인력시장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렵다고 판단, 한층 더 발전된 상생의 노사관계를 구축하려고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고 결단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런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방안을 14일 롯데호텔부산에서 열리는 '제2회 부산국제항만콘퍼런스'의 항만 노무공급 세션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부산항운노조 내부 반발도 만만찮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항에 하역작업을 하는 용역업체가 늘어나면서 항운노조 조합원 일자리가 줄어들었는데 노무 독점공급권까지 포기하면 그만큼 조합원 일자리가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부산항의 한 관계자는 '상시 비조합원' 고용 등의 문제로 부산항운노조 집행부와 일부 지부 간 다툼이 끊이지 않는 상황에서 노무공급 독점권 포기 문제가 불거지면 부산항운노조 내부 갈등이 더 커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