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의원은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은 사회적으로 민감한 보건복지 정보 관리시스템 운영을 민간업체에 외주용역으로 맡기기 보다는 공공기관이 통합 관리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돼 설립됐다"며, "하지만 개발원은 설립 후에 개발원 자체 사업과 정부 위탁사업을 종전방식처럼 외부 용역으로 해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정보시스템 운영 업무를 수행하는 전담기관이 설립돼음에도 불구하고 정보개발원이 직접사업을 수행하지 않는다면 기관설립의 의미가 없다"면서 "국가의 보건복지 정보망을 관리하는 전담기관인 만큼 용역사업보다는 직접사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개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이 의원은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에서 모든 국민의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사이버안전센터가 직원의 90% 이상이 외주업체 직원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개선을 요구하기도 했다.
그는 "현재 센터 내 전문 관리를 위한 정규직원을 확대하고 외주인력을 관리감독 할 수 있도록 인력구성의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