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인채택 파행' 환노위, 노동부 국감 파행 예고
'증인채택 파행' 환노위, 노동부 국감 파행 예고
  • 이준영
  • 승인 2014.10.08 09: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올해 고용노동부 국정감사는 근로시간 단축 및 통상임금 등을 놓고 뜨거운 공방전이 예고된다.

지난 4월 환노위 노사정소위원회의 합의 불발 이후 한동안 꺼져가던 근로시간 단축 및 통상임금 논란은 환노위 여당 간사인 권성동 새누리당 의원이 지난 2일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발의하면서 다시 불을 지폈다.

권 의원이 대표 발의한 개정안에는 현행 주당 법정 근로시간 52시간(40시간+연장근로 12시간)에 근로자대표와 서면합의시 추가 연장근로 8시간을 더해 최장 근로시간을 60시간까지 허용하는 방안이 담겼다.

개정안은 지난달 기획재정부·고용노동부·중소기업청과의 당정협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했다는 점에서 정부안이나 마찬가지여서 법안심사 전 국감에서부터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당의 반발이 예상된다.

환노위 야당의원실 한 관계자는 "이번 개정안은 사실상 정부안이라고 볼 수 있는데 정부가 노사정 소위에서 결론을 못 냈던 내용에 대해 일방적으로 재계의 손을 들어줬다"며 "상임위 차원에서 법안심사를 시작하기 전 이번 국감에서부터 차근차근 따져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밖에 시간제일자리와 청년 일자리를 포함한 정부의 고용률 70% 로드맵도 여야 의원들의 집중 추궁 대상이다. 또 좀처럼 줄지 않은 산업재해에 대한 대책과 전교조 법외노조 문제, 대기업 불법 파견 등이 올해 국정감사장을 뜨겁게 달굴 전망이다.

하지만 기업인 증인채택 합의 불발로 파행 운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7일 열린 환노위의 환경부 국감은 기업인 증인을 반드시 불러야 국감을 진행할 수 있다는 야당과 기업인을 증인으로 채택할 수 없다는 새누리당 간 공방이 이어졌다.

결국 이날 오전 내내 환노위 여야 의원들 간 설전을 주고 받다가 정회하는 등 초반부터 파행을 빚었다. 여야 각 당 의원들은 오후 기자회견을 열어 국감 파행 운영 책임을 서로에게 떠밀었고 야당 측은 더 이상 국감을 진행할 수 없다며 국감 불참을 선언했다.

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리는 고용노동부에 대한 국정감사 역시 개회 선언조차 못해 산적한 고용노동 분야 이슈들이 묻히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