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에 따르면 대학 학과 수 기준으로는 10년간 9542개에서 1만1126개로 16.6% 늘었지만, 7개 계열 중 인문계열만 유일하게 1.7% 줄어들었다. 특히 문학·역사·철학 등 인문과학 분야는 학과 수 17개(2.5%), 입학정원 2123명(9.8%)이 줄었고, 자연계열 수학·물리·천문·지리 분야도 학과 수는 90개(20.3%), 입학정원은 7635명(43.3%)이 격감했다.
반대로 의약계열 입학정원은 10년간 1만734명(100.3%), 예체능계열은 5245명(14.35), 교육계열은 1549명(10.5%) 증가했다. 학과 수도 의학계열은 295개(89.7%), 예체능계열은 475개(41.4%), 교육계열은 107개(20%) 늘어 학과 수 증가를 주도했다. 입학정원과 학과 수 모두 취업률이 높은 실용학문 중심으로 재편되고, 인문·자연계열 비중은 크게 줄어든 셈이다.
공학·사회계열은 학과별 편차가 컸다. 입학정원은 공학이 2% 줄고, 사회계열도 2.6%를 기록해 전체 입학정원 증가율(4.3%)보다 낮았다. 그러나 35개 중계열로 구분할 때 사회계열 경영·경제학과는 10년간 입학정원이 9.7%(4409명) 늘었고, 공학계열 정밀·에너지학과(890.8%)와 기계·금속학과(36.6%)의 입학정원 증가율도 높았다.
이런 추세는 교육부가 취업률·학생충원률 등 획일적인 ‘성과지표’ 중심으로 대학을 평가하고, 학과 통폐합 등 실적도 재정지원사업 평가 항목에 포함시키면서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태년 의원은 “정부가 성과 중심의 숫자 지표로 대학을 평가하면서 정부·대학 간에 쌓인 갈등이 대학 내 학과·구성원 간 갈등으로 옮겨지고 있다”며 “이런 방식의 평가가 계속되면 실용학과는 득세하고 기초학과는 몰락하는 양극화가 더 심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