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학습병행제는 기업이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형 인재를 스스로 양성·활용할 수 있는 제도다. 기업은 청년 취업희망자를 채용해 이론 및 실무교육을 실시한 뒤 정부로부터 최장 4년간 교육비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기업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완료한 청년은 국가 또는 해당 산업계가 인정하는 직무자격을 부여 받을 수 있으며 학위도 취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학습병행제 참여요건은 학습근로자에게 상시근로자 50인 이상의 중견 기술기업으로 한정돼 있다. 다만 50인 미만이라도 우수 기술기업임을 인정받을 경우 참여가 가능하다.
상시근로자수 1000명 이상인 대기업과 공기업도 참여할 수는 있지만 교육 인프라 구축지원과 운영비용 지원 등은 받을 수는 없다는 것이 현재 고용부 방침이다.
11일 고용부에 따르면 현재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한 기업은 1730개 업체에 달한다. 다만 상시근로자수 1000명 이상인 대기업은 10개 업체에 불과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만 현재까지 선정된 1730개 업체 중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맞춘 교육과정을 수립한 뒤 고용부에 인증을 받은 기업은 276개 업체인 것으로 조사됐다.
1730개 업체가 모두 인증받았을 경우 예상되는 채용계획 인원은 9461명에 달한다. 하지만 인증된 일학습병행제 참여 기업 276개 업체에 고용될 수 있는 청년 취업자는 703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업체당 2.5명을 고용할 수 있다는 수치로 해석할 수 있다.
이처럼 인증기업의 수가 적은 이유는 맞춤형 교육과정을 중소기업에서 스스로 수립해 고용부의 인증을 받는 과정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대기업은 어떨까.
현재 일학습 병행제에 참여하고 있는 대기업(상시근로자 1000명 이상)은 모두 10개 업체로 조사됐다. CJ CGV, 현대건설, 에어코리아,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코리아 등이다.
이들 10개 업체는 184명의 학습근로자를 선발한다는 계획을 고용부에 제출한 상태다. 1개 업체당 청년 취업자 18.4명을 선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기업들은 직원을 교육시켜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중견·중견 기업보다 많은 경험을 갖고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대기업들이 사회공헌적 측면에서 정부로부터 교육 인프라 구축지원과 운영비용 지원 등을 받지 않으며 일학습병행제를 도입할 경우 청년들은 다양한 일자리를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부 입장에서는 청년 취업률 증가와 일학습 병행제 정착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대기업들도 기업에 맞는 청년 인재를 양성해 활용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사회공헌과 일자리 창출에 앞장섰다는 명분을 얻을 수 있다.
결국 청년들의 일자리를 늘리는 한편 일학습 병행제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참여가 필요충분 조건이나 마찬가지다.
이와관련 고용부 관계자는 "현재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하고 있는 대기업들의 직종은 기계, 서비스, 정보통신, 영상기능학과 등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대기업의 참여가 증가한다면 제조업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일학습병행제에 다양성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향후 고용부는 문화콘텐츠, 회계, 부기, 경영, 고객서비스, 마케팅, 급여, 금융서비스, 주택담보 대출상담 등 경영·행정·법률 분야에 대해서도 점차적으로 일학습병행제를 확대·시행한다는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