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을 최우선시하는 최 부총리가 언급할 정도로 한국의 비정규직 문제는 심각하다. 비정규직 임금을 높이지 않는 한 경제성장도 한계가 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차별을 해소하면 비정규직 가계의 소득이 늘어 내수가 살아나고 경제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최 부총리는 기업 자율성을 매우 중시하기 때문에 본질적인 비정규직 해법을 마련하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기재부는 임금을 올리는 기업에 인센티브를 주거나 최저임금을 높이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최저임금 상승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최 부총리는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최저임금은 지속적으로 향상시켜야 하지만 너무 급격한 인상은 그나마 있던 일자리를 감소시키는 부분도 있기에 종합적으로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기업의 임금 상승률이 최근 3년 평균 상승률을 넘어설 경우 초과한 금액의 일정 부분을 세액공제해주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세제 등 인센티브를 활용하는 카드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한 중소기업에 정규직 전환에 따른 임금 일부를 지원해주는 식이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