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는 “2012년 연구용역에 따르면 인턴근무 중 임금이 150만~180만원 미만이 29.5%로 가장 많고, 인턴 종료 이후 임금은 200만원 이상이 52.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며 “또한 음식·숙박업체, 소비·향락업체 등은 인턴 참여기업에서 제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정부는 강소기업 등을 우대해 청년이 보다 양질의 일자리에서 일 경험을 쌓아 정규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공공기관 청년고용할당제, 글로벌 스펙초월시스템(K-MOVE) 등 청년고용 정책내용에 대해 청년이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과 관련해 “앞으로, 정부는 청년들이 원하는 내용을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대학 커뮤니티, 온라인, SNS 등)을 통해 제공하는 방안을 적극 강구하겠다”고 해명했다.
경향신문은 관련 기사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인턴으로 일하고 있는 박모씨(28)는 영상, 마케팅을 위해 사설 아카데미를 알아보고 있다. 그는 ‘정부에서 인턴제를 적극 활용하라고 했지만 막상 해보니 허드렛일만 하고 도움이 되지 않아 배신감을 느낀다’고 보도했다.
또한 “2007년 ‘88만원 세대’ 논란 이후 정부와 정치권은 각종 학자금·고용정책을 쏟아냈지만 청년들은 정책 내용조차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