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정부의 경우 재량과 역할 강화돼야"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선 여성을 위한 휴직, 휴가 및 급여제도 등의 정책 확산과 상시 운영기관의 체계적인 계획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4일 여성주간을 맞아 대전YWCA에서 개최한 ‘제19회 대전여성포럼’에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이택면 박사는 “여성 일자리 확충을 위한 상시 운영기관이 있어 체계적인 계획이 이뤄져야 한다”며 “지역별로 지역 경제 및 고용 동향 분석에 관한 서비스를 어디서 제공받을 수 있는지, 여성 일자리 확충을 위해 더 세밀한 분석적 서비스 제공이 어디서 제공하는지에 대한 계획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박사는 “고학력 여성을 위한 특화 교과 과정 운영과 기술의 미스매치가 문제”라며 “경력단절여성의 채용에 있어 하향 채용이 존재한다. 따라서 특정 기업체의 경력단절 여성 채용경험의 모범사례 확산·홍보와 정부의 노동시장정책 강력 추진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이를 위해 지방정부의 재량과 역할이 더욱 강화돼야 하고 민간에 양성평등적 고용 관행이 정착될 수 있는 인센티브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는 경력단절여성 264명을 대상으로 여성들의 재취업 및 경제활동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도 발표됐다. 설문 응답자의 89%인 235명의 여성이 과거 직장 생활 경험이 있고 64%(169명)가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자였으나 27.3%(72명)이 결혼, 임신, 출산으로 경력단절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업사유의 경우도 37.5%(99명)가 결혼·임신·출산·육아 때문이 가장 많았고 21.6%(57명)가 근무여건(임금, 승진, 근로시간 등) 등의 이유가 뒤를 이었다. 자녀출산 후 재취업과 관련한 장애요인도 26.1%(69명)가 자녀보육 및 양육, 20.8%(56명)가 자신감 부족, 20.5%가 학력 및 능력부족으로 재취업에 어려움이 있음을 밝혔다.
대전여성인력개발센터 강은혜 관장은 “설문자의 연령대가 30~50대임을 감안한다면 대전지역 여성들의 대부분이 결혼·임신·출산·육아로 경력단절이 됐다는 사실을 명백히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