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장현 광주시장 당선자가 시 산하기관의 비정규직 현황 파악을 지시한 이후 나온 공식 집계로, 기관별 비정규직수에 대해서는 ‘공개되면 불편하다’는 이해하기 힘든 이유로 공개되지 않았다. ‘시민과의 소통’을 기치로 내건 윤 당선자가 인수위원회 운영과정을 전면 공개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인 행정 행태라는 지적이다.
광주시는 22일 ‘비정규직 정규직화 전국에서 가장 앞서’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광주시는 비정규직 근로자 98명 중 법률상 정규직 전환이 불가능한 45명을 제외하고 53명을 민선 5기 정규직화해 전국 자치단체 중 최초의 모범사례가 됐다”면서 “(시)산하기관의 경우에는 그동안 850명의 비정규직 중 12명을 정규직화해 838명의 비정규직이 근무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는 특히 “(민선 6기 인수위원회인)희망광주 준비위원회에서 밝힌 공사·공단, 출자·출연기관 등 산하기관 정규직화는 각 기관의 특수성과 예산확보 대책, 경영합리화 등을 검토해 종합적인 대책이 마련되면 그 결과에 따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시 산하 비정규직 838명을 중심으로 정규직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시는 다만 각 기관별 비정규직 수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공개하면 불편한 부분이 많아서 안된다. 공사·공단 4곳 568명, 그외 270명 등까지만 밝힐 수 있다”며 공개를 거부했다. 이는 기관별 비정규직 비교를 통한 비판 여론 형성에 부담을 느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윤장현 광주시장 당선자는 지난 19일 오전 준비위 회의에서 광주시청 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취임 초 집중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획기적인 안을 만들어 낼 것을 주문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