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강식 한국항공대학교 교수는 20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 그랜드홀에서 열린 '합리적인 근로시간 단축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에서 "근로시간 단축을 위해서는 업무관행 개선과 노동시장 유연성의 확대가 필요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 교수는 "외국 사례를 보면 국가별로 경기나 노동시장 상황뿐 아니라 임금삭감을 통한 일자리 공유, 추가 고정비용 부담 능력, 임금·노동관행 협상, 생산성, 정부 지원 등에 따라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고용 효과가 다르다"고 설명했다.
또 김희성 강원대 교수는 "노사가 대등한 관계에서 합의를 이뤄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정부 주도가 아닌 노사 자율로 근로시간을 단축하는 게 합리적이며, 연차휴가 사용촉진 강화, 유연근로시간제 활성화, 초과근로할증률 개선 등이 선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소기업중앙회와 한국경영자총협회 주최로 열린 이날 토론회는 최근 정부와 정치권에서 추진 중인 근로시간단축 정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살펴보고 산업현장의 현실을 반영한 합리적인 근로시간 단축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