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이날 오후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인근의 한 식당에서 출입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통상임금 논란은 일한 대가가 정확하게 반영됐는지 여부가 중요한 배경 중 하나"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방 장관은 "(노동자 입장에서는) 기본급 비중은 너무 낮게 책정돼 있고 사업자 입장에서는 직무성과가 제대로 반영되고 있는 지 여부에 대한 입장으로 맞서고 있다"며 "현재까지는 근로시간 위주였는데 앞으로는 근로시간보다는 성과와 직무 중심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이번 판결이 중요하고 이번에 고용노동부가 내놓을 현장 지침도 대법원 판결 정신을 담은 것"이라며 "대법원 판결 정신은 '미래'다. 미래 임금 체계를 정비한다는 차원에서 이번에 지침도 내리고 입법도 그런 틀에서 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통상임금에 대한 후속 입법 추진을 위해서는 한국 노총 등이 다시 대화채널에 돌아와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방 장관은 "한노총과 민노총이 정부 대화체에서 빠지게 되면 실제 근로자의 근로 개선이나 통상임금 체제, 정년 연장에 따른 임금체계 개편 등은 어떻게 되는가"라며 "그런 차원에서 한노총 민노총 지도부가 생각을 바꿔 정부위원회나 협의채널을 가동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진정성을 갖고 설득하고 노력하며 일단 만나서 대화한다면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다"며 "한노총과 민노총도 지도력을 발휘해서 큰 틀에서 통상임금법 등이 사회적 대타협으로 가기전에 정부위원회나 협의체에 들어와서 정상화를 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방 장관은 정부에서 민주노총에 공권력 투입이라는 초강수를 둔 것과 관련해 "최근 노정관계가 경색된 것에 대해 상당히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어떻게 하면 (노측이) 다시 테이블에 앉을 수 있겠는지, 여러 가지 채널을 동원해 설득해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