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보고서는 공공부문 근로자들은 평균 6.1%의 임금 프리미엄 혜택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연령, 성별, 노동시간, 지역, 학력 및 기술수준, 근속기간 등을 감안해 비교 가능하다고 여겨지는 같은 지역 민간부문 근로자들에 비해 연간 1,400 파운드를 더 많고 있음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역별 편차는 있었다. 런던, 영국 동부, 남동부 지역의 공공부문 근로자들은 비교 가능한 민간부문 근로자들과 비교해 낮은 임금을 받고 있었다.
이 연구소는 이 같은 차이는 전국단위 임금교섭 시스템(National Pay Bargaining)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교섭 시스템에 따라 공공부문 근로자들은 그들이 어디에서 일하고, 어디에서 거주하는지를 막론하고 공공부문에서 맡은 역할에 따라 같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소는 정부에 대해 전국단위 임금교섭을 폐지하고 지역노동시장과 개인의 성과를 반영한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공공부문 근로자들에 대한 임금과 연금을 민간부문 수준으로 만들게 되면, 1년에 정부 재정지출 63억 파운드를 줄여 영국 내 가장 빈곤한 지역들에서 민간부문 일자리 28만 8천개를 만드는 데 쓸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노동조합들은 이 제안에 반박하고 나섰다. 공공부문 노동조합인 유니손(UNISON)은 이 보고서 자체에 흠결이 있고, 공공부문의 임금 프리미엄 역시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말했다.
데이브 프렌티스 유니손 사무총장은 “우선 전국 단위 임금교섭이 임금격차를 양산했다는 주장은 특히 공공부문 근로자들이 이미 지난 3년 동안 일방적으로 임금 동결을 당하고, 그 이후에도 고작 1%의 임금 인상으로 고통을 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터무니 없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또한 공공부문에서 일하는 저임금 근로자들, 즉 학교나 병원의 청소노동자, 식당노동자, 사회복지업무 담당자들이 이미 민간부문으로 아웃소싱돼서 민간부문 근로자로 통계에 잡히는 반면 고소득자인 판사, 의사, 고위 공무원들이 공공부문으로 잡힌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이는 통계왜곡이라고 주장했다.
영국노총(TUC) 프란세스 오그래디 사무총장 역시 “전국 단위 교섭을 폐기하는 것은 지역별 불평등은 물론 지역 내 불평등을 가속화시키는 길”이라고 반발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