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불경기에의 안착은 먼저 고용과 관련된 통계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2011년 상반기에는 84,000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는 등 역동성이 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반기를 지나면서 임금근로자 고용의 경우 2008년도 상반기 최대치였던 30만 개 이하로 떨어졌다.
2011년 7월부터는 2010년 말부터 감지되었던 간접고용의 하락이 심화되었다. 주요산업부문에서는 새로운 인원감축이 이루어졌고 2008년과 2009년에 증가했던 비산업 부문의 고용이 후퇴한 것 또한 상황이 악화된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고용불안정은 법정 퇴직연령 연장에 따른 고령자의 고용증가로 경제활동인구율이 상승하는 가운데 나타나기 시작했다. 고령자의 고용률과 활동률은 ‘정기적이고 놀라운’ 속도로 증가했으나 청년층의 고용률은 감소했다. 결과적으로 실업률은 2011년 2사분기부터 현저하게 증가했다. 또한 언제나 그렇듯 간접고용(interim), 계약직(CDD) 등의 임시직과 비숙련직에 종사하는 경우 실업자가 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년층의 실업률이 증가했다. 그 이유로는 일단 고용불안정이 고령자층보다 청년층에 더 많은 영향을 끼쳤고 경기변화에 민감한 분야에서 근무하는 청년층의 비율이 고령층의 경우보다 더 높다는 점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 같은 불경기 속에서는 기업이 비숙련직을 유지할 확률보다 해고할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위기가 한참 진행되던 2009년의 상황과 비슷하게, 전 해에는 취업 중이던 근로자가 다음 해에 해고될 위험성이 비숙련근로자의 경우 8.8%와 관리직의 경우 1.6%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저임금의 인상으로 보호되기는 하지만 명목임금의 경우 2009년 위기 이전보다 낮은 속도로 인상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실질임금은 2012년 경미하게 증가하기 전까지 물가인상의 영향으로 임금인상 수준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공무원 또한 허리띠를 조이는 상황이다. 공무원 최저 호봉(indice minimum)의 인상과 구매력의 개별 보장제도* 수혜 조건 완화에도 불구하고 현재, 2011년 평균실질임금의 인상률은 낮아졌다. 2010년 7월부터 호봉이 동결됨에 따라 평균실질임금은 2011년 0.3% 감소했고 2012년에 계속해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