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근로자 정규직 전환 요구
인천공항 근로자 정규직 전환 요구
  • 김연균
  • 승인 2012.09.20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학계 “직접고용이 운영 효율에 도움”
인천국제공항 운영인력의 87%에 달하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 소속 13개 외주 공항운영업체 비정규직 직원 600여 명은 19일 오전 인천국제공항공사 청사 앞에서 ‘비정규직 직접고용·정규직화를 위한 투쟁선포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우리 모두 10년 넘게 인천공항을 지키고, 닦고, 조여왔지만 하청업체 소속이다 보니 호봉이나 경력 등은 모두 무시돼 정규직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낮은 임금에 복지혜택도 없다”며 “현재 공항공사가 하청업체를 통해 실질적인 업무지시를 하는 만큼, 인천공항의 안정적 발전과 공공성 확대를 위해서는 직접 고용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인천공항은 총 6,875명이 근무하고 있지만, 이중 5,978명(86.95%)이 청사관리와 보안, 청소 등 39개 부문 42개 외주 용역업체에 고용돼 일하고 있다. 10명 중 9명에 가까운 근로자가 간접고용 형태의 비정규직인 셈이다.

특히 공항공사가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공항운영이 효율적이라는 연구결과도 제시됐다.

김성희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인천공항의 비정규직 비율을 세계적으로도 유례없이 높은 비율”이라며 “공항공사가 42개 외주업체를 운용하는 데 드는 중복 관리비라면 현재의 비정규직을 모두 정규직으로 충분히 전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의 연구결과 지난해 공항공사가 3,306억원을 39개 부문의 외주 용역비로 지출했으나, 비정규직 인력을 정규직으로 직접 고용하고 외주를 직영으로 전환하면 3,120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인 차원에서 직접고용을 통한 공항운영이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국회 국토해양위 소속 문병호 의원(민·인천 부평갑)도 이날 “앞으로 국회 입법과정에서 직접고용과 정규직 전환이 성사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비정규직 문제해결을 약속했다.

조성덕 지부장은 “공항공사 정규직의 38.5%에 그치는 임금과 고용불안은 인천공항 개항 후 줄곧 제기돼온 고질적 현안”이라며 “향후 3년, 최대 5년을 목표로 비정규직의 단계적 정규직 전환을 위한 행동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