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69%에서 유연근무제 활용
공공기관 69%에서 유연근무제 활용
  • 강석균
  • 승인 2012.08.27 12: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공기관 중 69%가 출퇴근을 편한 시간대로 조정하거나 일하는 시간을 줄이는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가 24일 발표한 `2분기 공공기관 유연근무제 추진실적'을 보면 전체 288개 공공기관 가운데 69.1%인 199개 기관에서 유연근무제를 활용했다.

이 제도를 활용하는 직원은 2만4천명으로 해당 공공기관 직원의 8.2%를 차지했다. 다만, 한 사람이 두 가지 이상 유연근무제를 활용해도 중복으로 계상되기 때문에 실제 인원은 이보다 적은 것으로 추정된다.

유형별로는 탄력근무제가 1만6천400명(5.6%)으로 가장 많았다. 이 제도는 주 40시간 근무하되 출퇴근 시각, 근무시간, 근무일을 자율적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탄력근무제 가운데 1일 8시간 근무체제는 유지하면서 출근시간을 조정하는 시차출퇴근형은 160개 기관에서 1만5천300명(5.2%)이 활용했다.

주 40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근무하는 시간제근무를 활용한 직원은 6천200명(2.1%)이었고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사무실 밖에서 근무하는 원격근무제는 1천400명(0.5%)이었다.

1분기와 비교하면 유연근무 활용기관 수는 16개(8.7%) 늘었고 활용 직원 수는 7천104명(42.1%) 증가했다.

기재부가 공공기관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유연근무 활용의 문제점을 설문한 결과 `문제가 없다'는 의견이 37%로 가장 많았고 `동료직원의 업무부담 가중'(23%), `업무처리 속도 등 성과 저하'(18%) 등의 답이 뒤를 이었다.

기재부는 설문조사를 토대로 전체 공공기관에 대한 일률적인 제도 적용에서 벗어나 개별 기관의 여건과 특수성을 반영해 기관 유형별 유연근무 활성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