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콜센터 산업 육성 차별화 필요
대전 콜센터 산업 육성 차별화 필요
  • 김연균
  • 승인 2012.06.08 09: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전지역 콜센터 산업이 탄력 받기 위해선 당초 대전으로 이전한 업체에 대한 지원에서 더 나아가 전문인력 양성, 통합 워크숍 등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표적인 지식기반형 산업으로 꼽히는 콜센터는 고용률이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돼 지자체별로 자금지원은 물론 콜센터 전용 건물 신축 등 경쟁이 치열하다.

일부 전문가들은 “대전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선 타 지역과 비슷한 자금지원 외에도 지역대학 내 관련학과 개설, 토론회 등 다각적 접근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대전시에 따르면 지역 내 콜센터 수는 올해 기준, 총 101개로 종사자 수는 1만3012명이다. 구별로 살펴보면 서구는 42개(3989명), 중구40개(5873명), 유성구 11개(2070명), 대덕구 4개(770명), 동구 4개(310명)등 이다.

콜센터 산업은 초기 투자비용이 적고 환경 유해요인도 없는 동시에 고용창출 효과가 크다. 실제 콜센터 산업의 고용유발계수는 20.7명(1명/10억원)으로 도소매·음식·서비스업 14.4명, 건설업 12.4명, 서비스업 11.7명, 제조업 7.2명 등을 웃돈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에 따르면 2009년 기준 국내 콜센터 업체 지역별 분포도는 수도권 73.9%, 대전 7.5%, 부산 6.9%, 대구 5.0% 순으로 나타났다.

대전이 콜센터 산업에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값싼 임대료, 풍부한 인적자원, 수도권과 인접한 지리적 요건 등을 들 수 있다. 대전지역 평균 임대료는 3.3㎡당 204만원 수준으로 이는 부산 302만원, 울산 297만원, 인천 280만원, 대구 258만원, 광주 230만원 등 주요도시에 비해 낮다. 동구와 중구 등 원도심을 중심으로 오피스빌딩 공실률이 높은 점도 작용했다. 또 대전은 총 19개 대학과 14개 특성화고가 있으며 사통발달의 지리적 요건을 갖추고 있어 콜센터 산업을 위한 인프라 여건이 우수한 편이다.

시는 현재 대전으로 옮긴 업체를 대상으로 설비투자, 임대료, 교육비, 고용보조금 등을 일부 지원하고 있다.

타 지역의 경우 관련 보조금 지원은 기본이고 산업 집적화를 위한 움직임이 발빠르다. 광주는 지난해 콜센터 전용건물인 빛고을 고객센터(지하 5층, 지상 15층)를 세웠고 대구도 2005년 콜센터 전용건물(10층 규모)을 신축해 업체에 대해 각각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대전은 수도권에서 이전 한 업체를 집중적으로 지원해 신설업체에 대한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대구·강원·전남 등은 신설업체에 대해서도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지역경제 전문가들은 갖춰진 요건에 안주하지 말고 타 지역과 차별화된 육성 전략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대학 및 특성화고에 콜센터 관련 학과를 마련하고 전문인력 양성에 힘쓰는 한편 지역 내 콜센터 통합 워크숍 자리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대전은 2008년 대덕대학에 콜센터산업연구소가 개소했으나 현재는 없어진 상태다.

김기희 대전발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단순 비용지원은 단발성에 그칠 수 있다”며 “관련 학과 개설로 고급인력을 길러내고 집적단지를 조성하는 등 하부구조를 촘촘히 닦아 놓는다면 지역 경제 신성장동력으로 콜센터 산업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