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의 임금은 2010년 보수-자민 연립정부가 긴축정책을 시행한 이래 3년째 동결되는 것이다.
지방정부 사용자들은 2월23일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전례 없는 3년 연속 임금동결은 잉글랜드, 웨일즈, 북아일랜드 전역에 걸쳐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비용 부담 증가와 지방정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재원이 줄어드는 데에서 기인한다.
하지만 노조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GMB, Unison 등 공공부문 근로자들을 조직하고 있는 노동조합들은 공공부문에서도 저임금 분야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이 3년 연속 동결된 임금을 받는다는 것은 실질임금에서의 엄청난 삭감을 의미한다며, 사용자들이 임금에 관한 이슈를 중재에 회부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으면 노동쟁의를 준비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
‘3년 연속 임금 동결’ 방침에 대해 지방정부협의회는 “아주 어려운 결정 중 하나였다”면서도 “지방정부 납세자와 근로자 전체를 위해 옳은 결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방정부 비용 증가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재원 감축이 결합돼 지방정부에게 남은 결정권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임금까지 인상하면 더 많은 일자리 감소와 서비스의 축소를 가져올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는 설명이다.
지방정부협의회 관계자는 “3년째 임금동결로 근로자들이 느낄 불만과 좌절감을 인지하고 있다”며 “지방정부 재정을 둘러싼 전반적 상황이 암울한 가운데 우리는 2013년에 ‘4년 연속’ 임금동결을 피하기 위해 임금과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노동조합과 협의를 시작할 의지가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노동조합의 반발은 거세다. GMB 노조는 “지방정부의 고위직 임금은 한없이 오르고 지방의회 의원들은 더 높은 수당을 받기 위해 시도하는 가운데 돌봄노동자, 급식담당자, 사회복지사, 학교 지원업무 인력을 포함한 그들의 공동체를 위해 노력하는 모든 지방정부 근로자들은 15%가 넘는 실질임금 삭감 위기에 처해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노조는 2010년 예산안에서 조지 오스본 재무장관이 저임금 공공부문 근로자들이 긴축재정 상황에서도 일정한 보호를 받게 될 것이라고 약속한 점을 상기시키면서 “지금은 보수당이 잡고 있는 지방정부에서조차 정부 방침을 비웃는 임금동결이 이뤄지고 있다”고 비난했다.
따라서 GMB노조는 사용자들이 중재에 부치는 것을 거부하면 노동쟁의에 관한 논의에 착수할 방침이다. Unison 역시 “임금을 3년 연속 동결하면서 근로자들을 빈곤의 덫에 가두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각 지방정부는 지방세를 올리거나 예비금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근로자들의 최소한의 생계비를 보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