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조사한 ‘2011년 하반기 신입사원 평균 스펙’을 토대로 구직자들의 취업 스펙 가이드라인을 수립해보자.
♦ 토익 성적은 평균 699점
사람인이 작년 하반기 신입사원을 채용한 기업 300개사의 신입사원 토익 성적을 조사한 결과 58%가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성적은 평균 699점으로 집계되었다. 지난 해 상반기와 비교하면 토익 성적 보유자(75.6%) 비중은 17.6%p 낮아졌지만, 평균 성적(688점)은 11점 높아졌다.
점수를 자세히 살펴보면, ‘600~650점 미만’(24.1%), ‘600점 미만’(20.7%), ‘650~700점 미만’(15.5%), ‘800~850점 미만’(13.8%), ‘750~800점 미만’(10.3%) 등의 순이었다.
♦ 학점은 3.5 수준 유지, 전공 관련 자격증 있으면 도움
신입사원의 평균 학점은 3.5점(4.5점 만점)으로, 작년 상반기 평균(3.4점) 대비 약간 상승했다. 자세한 수치는 ‘3.3~3.6점 미만’, ‘3.6~3.9점 미만’이 각각 25%였고, 다음으로 ‘3.0~3.3점 미만’(21%), ‘3.9~4.2점 미만’(19%) 등이 뒤를 이었다.
‘자격증’은 평균 1.7개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들이 보유한 자격증의 종류는 ‘전공 관련 자격증’이 51.7%(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OA 관련 자격증’(42.7%), ‘IT 관련 자격증’(29.2%) 등이 있었다.
♦ 업무 경력 중시, 인턴경험 각광
신입사원 채용에서도 사회 경험 및 실무 능력을 중시하는 채용 풍토가 확산되면서 경력을 보유한 올드루키나 인턴 활동 경험이 있는 지원자가 각광받고 있다. 작년 하반기 신입사원 중 경력 보유자는 32.6%, 인턴활동 경험자는 28.8%인 것으로 나타나, 상반기(각각 30.9%, 26.1%)보다 증가했다.
경력 보유자의 평균 경력기간은 ‘24개월 이상’(25.2%), ‘12~18개월 미만’(22.5%), ‘18~24개월 미만’(15.6%), ‘3~6개월 미만’(12.8%) 등의 순으로, 평균 1년 3개월로 집계되었다.
인턴활동 경험자들의 인턴활동 형태는 ‘공공기관 행정인턴’(27.5%, 복수응답), ‘방학 단기인턴’(26.9%), ‘중소기업 인턴’(20.4%), ‘대기업 인턴’(19.2%) 등의 순이었다.
♦ 합격 당락을 좌우했던 스펙은?
신입사원 채용 시 평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스펙으로는 ‘단기 경력 보유’가 15%로 1위를 차지했다. 계속해서 ‘학력’(13%), ‘보유 자격증’(13%), ‘기업체 인턴 경험’(12%), ‘토익 등 어학점수’(5%), ‘각종 대내외 활동 경험’(5%) 등을 주요 스펙으로 꼽았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