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O비대위 “매각 말고 완전히 철수해야”
삼성과 SK그룹이 각각 MRO 사업 매각, 사회적기업으로의 전환을 선언하고 나선 것에 대해 중소MRO업계는 완전히 철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최근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은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면서 대기업 MRO가 그 계열사뿐 아닌 정부, 대학에까지 납품하고 있어 중소 상인의 자리를 침범,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삼성은 지난달 10년간 운영해 온 아이마켓코리아(IMK)의 지분을 전량 매각한다고 밝힌 바 있으며 SK그룹도 MRO사업체인 MRO코리아를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키로 했다.
포스코는 삼성, SK와 달리 사업에 손을 놓지 않는 대신 영업이익을 안 남기겠다고 선언했다.
포스코 측은 지난해 엔투비 영업이익률은 0.43% 밖에 되지 않았고 제품 또한 계열사 및 1차 협력사에만 팔아 다른 대기업 MRO업체와 성격 자체가 달라 MRO 사업을 포기할 이유가 없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MRO비상대책위원회는 삼성이 MRO 사업에서 완전히 철수할 것을 요구했다. 지분매각은 사태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사업에서 완전히 철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MRO 비대위는 “IMK를 제 3자가 인수하더라도 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거대 기업이 그대로 남게 돼 중소상인들에게 달라질 것은 전혀 없다며 오히려 외국 기업이 IMK를 인수하면 역효과만 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소업계는 삼성으로부터 매각된 IMK가 지배력을 강화할 경우 오히려 동반성장을 저해할 수 있게 된다고 우려했다.
전국소상공인단체연합회는 삼성이 매각보다는 계열사의 1차 협력사 위주로만 영업하겠다는 중소상공인과의 합의이행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일근 한국베어링판매협회 회장은 “삼성의 이 같은 결정은 지분만 양도할 뿐 정작 회사는 그대로 유지한 채 새 거래처를 무차별적으로 확장하도록 길을 만들어 준 꼴”이라며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고사하고 도마뱀 꼬리 자르듯 순간의 위기만 벗어나려는 조치”라고 말했다.
MRO 비대위는 SK그룹의 MRO자회사인 MRO코리아의 사회적기업 전환에 대해 이미 MRO사업을 통해 무분별하게 확장해 상당수 중소상공인들을 고사직전까지 물고 간 상황에서 이제와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하겠다는 것은 모순이라고 주장했다.
정태근 한나라당 의원도 삼성의 지분매각은 중소상인에게 전혀 도움이 안될뿐더러 중소기업이 인수하더라도 부작용이 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매각 없는 전면 철수를 하라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LG 서브원은 사무용품을 비롯한 건설·설비보수, 공기구·전기전자제품, 환경·청소·잡화 등의 소모성 자재와 생산설비·부품 등의 원부자재까지 MRO에서 판매하고 있어 중소 제조업체를 비롯한 유통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LG 서브원의 MRO사업 전면 철수를 주장했다.
그는 또 “소유 구조만 바뀌면 대중소기업 간 갈등은 오히려 더 심화된다”며 “삼성을 비롯한 대기업들은 MRO 사업을 매각이 아닌 전면 철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