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공인인력개발연구소(CIPD)는 지난 4월 기업과 공공기관 인사노무담당자 371명(그 중 35%가 공공부문)으로부터 답변을 받은 결과를 토대로 이 같이 밝혔다.
CIPD는 또한 향후 18개월 동안 발생할 노조의 파업을 포함한 쟁의행위는 노조가 여론과 정부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파워가 있는지 여부를 보여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5월에는 연립정부가 정권을 잡은 이래 정부의 정책이 광범위한 노동쟁의, 특히 일자리 감축, 임금동결, 연금개혁 등을 초래할 공공부문에서의 쟁의를 촉발시킬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그러나 영국 통계청(ONS)에 따르면 지난해 노동손실일수는 36만5,000일로 집계돼 2005년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공공부문에서의 노동쟁의에 따른 노동손실일수 역시 5년 동안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2011년 처음 몇 달 동안에도 파업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공공부문 노동자들의 쟁의행위 가능성은 올 5월 들어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노조가 연금개혁안에 반대하며 6월에 하루 파업을 벌이는 것과 관련 투표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런 맥락에서 CIPD가 실시한 노사관계 설문조사는 앞으로 몇 달 동안 굵직한 파업이 일어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응답자들이 속한 회사 및 공공기관의 60%가 노조를 인정하고 있었는데, 이 중 55%는 기업 및 기관의 노사관계가 ‘좋다’, 혹은 ‘아주 좋다’고 답변했고, 30%는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으며 15%만이 ‘나쁘다’, 혹은 ‘아주 나쁘다’라고 답했다.
이처럼 CIPD 조사 결과가 일반적으로 노사관계가 ‘양호’한 것으로 조사된 반면, 2008년 조사결과와 비교할 때 노사관계가 좋다고 답변한 응답자의 비율은 65%에서 55%로 떨어졌고, 나쁘다고 답한 비율은 9%에서 15%로 높아졌다.
공공부문만 놓고 보면 단지 50%의 응답자만이 좋다고 답했는데 이는 2008년(66%)보다 16%나 떨어진 것이다. ‘나쁘다’라고 답변한 공공부문 응답자의 비율은 2008년 11%에서 21%로 증가했다.
노조를 인정하고 있는 회사 및 기관의 응답자 가운데 36%가 지난 1년 동안 노사관계가 바뀌었다고 답했는데, 공공부문에서는 응답비율이 43%로 평균보다 높았다.
노사관계가 바뀌었다고 답한 응답자 가운데 76%는 그 변화가 ‘부정적인 방향’이라고 답했으며 공공부문에서는 그 비율이 81%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30%(공공부문 응답자의 40%)는 노동쟁의에 관한 찬반투표로 이어질 수 있는 노조와의 갈등을 빚고 있다고 답했고, 4%(공공부문 8%)는 쟁의행위를 위한 투표가 진행되었거나 진행될 예정이라고 답했다.
다만 현재의 쟁의행위 찬반투표 이후 파업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답변은 1%였다. 노조를 인정하고 있는 사용자의 3분의 1은 자신이 속한 회사 및 기관의 노동자들이 ‘내년’에 파업을 할 것 같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2008년(31%)과 거의 비슷했다. 공공부문의 경우 49%로, 51%였던 2008년 조사와 비교할 때 오히려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