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산업자원부가 12일 밝혔다.
산업자원부는 12일 "화물연대의 집단행동으로 부산항의 수출입화물 처
리가 이날 오전 8시 현재 26.4%로 감소한 상황"이라며 "지난 9일이후
현재까지 2.2억달러의 운송 및 선적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산자부는 특히 조기에 화물운송이 정상화되지 않을 경우 부산항 8개
부두의 기능이 마비될 것으로 우려된다면서 부산항, 광양항에서의 화
물처리가 전면 중단될 경우 운성및 선적 차질을 하루에만 1.9억달러
가량으로 급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피해규모를 업종별로 보면 타이어산업이 하루 120개 TEU의 운송차질
(차질율 80%)로 지난 9일 이후 현재까지 500만달러 가량의 수출차질
이 발생했다. 한국타이어(00240)의 경우 대전 및 금산

폐쇄 및 부산물류센터 하역중단으로 운송 및 하역차질을 빚고 있다.
전자산업은 삼성전자(05930) 광주공장, LG전자 구미·창원공장, 대우
일렉트로닉스 광주·구미·인천공장이 출하에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
데 일부 업체는 집단행동 지속시 핵심부품 및 원자재 확보에 애로가
우려된다고 산자부는 전했다.
조선산업은 화물연대 포항지부의 협상 타결로 중대형 조선 8개사가 모
두 정상조업중이지만 수입기자재 운송반출 차질로 일부업체의 경우 조
업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철강산업은 대부분의 업체가 수출입 관련 피해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으나, 만호제강과 고려제강 등 부산지역 강선업체 중심으로 일부 차
질이 발생하고 있다.
기계분야 업체들은 동남아 수출물량 가운데 건설기계 수출이 일부 지
연되기도 했으나, 아직까지는 별다른 수출입 피해는 없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