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장애인고용촉진법에 따른 의무비율인 3%의 1.5배에 해당하는 수치로 정부는 지난 2월 장애인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의 의무고용률을 2.3%에서 3%로 상향조정한 바 있다.
캠코는 정부의 사회적 약자 지원정책에 동참하기 위해 지난달 말부터 6월 말 현재까지 지체, 뇌병변, 시각장애 등 장애를 가진 31명을 신규 채용했다.
이번 채용으로 캠코의 장애인 고용인원은 현재 47명으로 지난해 말 대비 3배 늘었으며 이중 취업에 더욱 어려움을 겪는 중증장애인의 비율도 26%에 달한다.
이번에 채용된 장애인들을 금융소외계층의 신용회복 지원, 국유재산 및 담보채권 관리 지원 등 실무분야에 배치돼 근무하고 있다. 채용은 장애인고용공단의 인력추천 등 협력을 통해 장애정도 뿐 아니라 지역, 학력, 경력, 연령, 자격 등에 대한 차별을 두지 않고 실시됐다.
장영철 캠코 사장은 “장애인에 가장 필요한 것은 일자리 제공”이라며 “장애인이 수행 가능한 직무 발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실시, 채용 우대 등 장애인 고용 확대에 지속적으로 앞장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