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직장인 1,434명을 대상으로 ‘회사 내 유리천장’이라는 주제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56%가 ‘우리 회사에 유리천장이 있다’라고 답했다.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62.8%)이 ‘남성’(50.6%)보다 유리천장이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유리천장이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남성 중심의 조직문화가 있어서’(41.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남성 위주로 주요 업무가 진행되어서’(33.5%), ‘남성의 승진이 더 빨라서’(25.5%), ‘여성 직원의 비율이 적어서’(25.5%), ‘여성 고위직 상사 비율이 적어서’(24.9%) 등이 있었다.
회사 내 유리천장이 생기는 원인을 묻는 질문에는 여성은 ‘남성 중심의 조직 문화가 있어서’(53%, 복수응답)를, 남성은 ‘여성 스스로 여자라는 틀에 얽매여서’(40.1%)를 각각 1위로 선택했다.
또, 유리천장을 막기 위해 가장 먼저 개선되어야 할 점에 대해서도 여성은 ‘보수적인 기업문화 개선’(24.5%)을 택한 반면, 남성은 ‘여성 본인들의 의식개선 및 노력’(34.6%)이라고 응답해, 유리천장에 대한 남녀간 시각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실제로 여성 직장인들은 직장생활 중 유리천장을 얼마나 체감하고 있을까?
절반이 넘는 57.1%가 유리천장을 체감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체감한 때로는 ‘커피 심부름 등 잡무를 시킬 때’(47.5%,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은 ‘남자 동기와 급여 차이가 날 때’(38.7%), ‘임신, 출산, 양육 등으로 불이익을 당할 때’(30.9%), ‘중요한 일은 맡기지 않을 때’(29.3%), ‘여자라서 안 된다며 무시당할 때’(23.5%), ‘승진에서 계속 밀릴 때’(21.3%), ‘여성 승진을 부정적으로 평가할 때’(20.7%), ‘부서 배치에서 차별을 받을 때’(14.6%) 등이 있었다.
또한, 자신이 부장급 이상 승진할 수 있다고 대답한 여성은 34.6%로 남성(58.5%)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