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통합시설관리(IFM)시장, 오는 2016년까지 180억달러 도달 전망
한국 통합시설관리(IFM)시장, 오는 2016년까지 180억달러 도달 전망
  • 이효상
  • 승인 2011.04.06 09: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은 40층 이상의 빌딩들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나라 중 하나이다. 2015년 비거주형 건축공사 시장 매출은 774.8억달러에 육박할 것이며 건축 공사 시장은 거주형 건축이 아닌 비거주형 건축 부문에 의해 움직일 것으로 전망됐다.

현재 대부분의 건물들은 최신식 기술로 완공 되었으며,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작업 인력들이 필요하다. 또한 기업들이 시설물 관리에 대한 규제 조항들을 반드시 준수하기 위해 전문 용역업체 도입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국내 시장 관계자들과 해외 통합시설관리 전문 기업들간의 협력이 통합시설관리 시장을 성숙 단계로 접어들게 할 것이다.

프로스트앤설리번의 한국 통합시설관리 시장 보고서(http://www.buildingtechnologies.frost.com)에 따르면, 2009년에는 134.3억달러의 수익을 올렸으며, 2016년의 수익은 185.5억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대부분의 한국 대기업들은 시설물들을 관리하기 위해 그룹내에 시설 관리팀을 따로 두고 있어 외부 시설 관리 서비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한국에서는 노사 관계와 근로기준법이 계속 거론되고 있는 쟁점이다.”라고 프로스트앤설리번 연구원은 한국 통합시설관리 시장의 어려운 점을 설명했다.

하지만, 증가하고 있는 대기업들과 해외 통합시설관리 기업들간의 협력이 통합시설관리 시장의 촉진요인이 될 것이며, 경제 정책 규제 완화와 서비스 확장으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연 평균 4.1% 비율로 이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진보주의적인 경제 정책들과 서비스 분야 확장으로 인해 이 시장 성장률은 2012년 말경에 꾸준한 성장세가 나타날 것이며, 건축 공사 규정들이 점점 더 엄격해지고 녹색 시설물 관리 추세가 높아지는 점들이 통합시설물관리 시장에 추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정부와 유지 보수에 관한 규제 기구들의 강력한 지원, 에너지 효율과 녹색 관리 등 통합 시설물 관리 시장의 또 다른 촉진 요인들이 있는 반면, 노사관계, 제조업의 근로 기준법, 낮은 다각화와 높은 진입 장벽등의 억제 요인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해외 기업 혹은 국내 소기업들이 대개 시설 관리팀을 보유하고 있는 대기업을 상대로 계약을 성사하기란 어렵다. 그러므로 통합시설관리 기업들은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평판을 얻어야 한다. 이는 가격보다 더 중요한 계약 기준이 될 수 있다.

통합시설관리 시장의 미래는 선진기술 적용에 달려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인들은 기술 혁신을 받아들일 용의가 있기 때문에, 통합시설관리 기업들이 최첨단 솔루션을 민영부문과 산업부문 양쪽 모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한국에서 소매업과 미디어 통신 부문이 크기 때문에 이 부문들의 통합시설관리 용역 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프로스트 앤 설리번 인터내셔널
홈페이지: http://www.frost.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