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 스터디 평균 1.6개 주당 2.4회 참여
최근 까다로워진 기업의 채용 방식에 대비하기 위해 구직자들 사이에서는 취업 스터디가 한창이다. 공모전 준비에서부터 압박면접 대비, 금융권 취업 준비 등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도 다양하다. 그 중 취업에 가장 도움이 되는 스터디는 어떤 것일까?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 www.saramin.co.kr)이 취업 스터디를 하고 있는 구직자 475명을 대상으로 ‘취업 스터디 활용’을 주제로 조사한 결과, 가장 도움되는 스터디로는 ▲ ‘면접 스터디’(65.7%, 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32%가 선택한 ▲ ‘영어 스터디’였으며, 다음으로는 ▲ ‘시사상식 스터디’(19.2%), ▲ ‘자격증 준비 스터디’(14.5%), ▲ ‘인적성 준비 스터디’(10.1%), ▲ ‘대기업 등 특정 기업 스터디’(9.3%) 등의 순이었다.
현재 구직자들이 하고 있는 스터디의 개수는 평균 1.6개였으며, 참여 횟수는 스터디 하나당 일주일 평균 2.4회 참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스터디를 하는 기간은 ‘3개월 미만’(35.8%)이 가장 많았다. 이어 ‘1개월 미만’(25.9%), ‘3~6개월 미만’(18.1%), ‘6개월~1년 미만’(12.6%) 등의 순으로, 평균 4.5개월 동안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구직자들은 취업 스터디를 통해 무엇을 얻었을까?
스터디를 통해 얻은 것으로는 ‘채용관련 정보 습득’(54.5%,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으며, ‘다양한 면접 연습’이 48.6%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자신의 단점 파악’(44%), ‘인맥형성’(33.5%), ‘지원서 작성 노하우 공유’(32.4%), ‘팀원의 장점 벤치마킹’(25.1%) 등의 답변이 있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스터디를 잘 활용하려면 우선 구체적이고 명확한 목적의식을 가진 스터디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구성원간의 진행규칙을 정해두고 이를 철저히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